아계유고 ()

한문학
문헌
조선 중기의, 문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문집.
문헌/고서
저자
이산해(李山海)
권책수
6권 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내용 요약

『아계유고(鵝溪遺稿)』는 조선 중기의 문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문집이다. 6권 3책의 목판본이다. 임진왜란 이전의 저작은 병란 중에 대부분 산일되었다. 1592년 강원도 평해 유배 기간 동안 적은 작품을 위주로 모은 「기성록」을 중심으로 1, 2, 3권이 편찬되었다. 이후 4, 5, 6권은 문집을 간행할 때 후손들이 유문을 수습, 정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짐작되나 정확한 간행 연도는 알 수 없다.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문집.
서지 사항

6권 3책의 목판본이다. 『아계유고』 목판본 서두에는 '죽피옹(竹皮翁)'이라는 자호로 쓴 서문이 실려 있다. 서문에 의하면 이 유고의 원고는 임진왜란 이전의 것은 병화에 모두 없어졌고 평해로 귀양 갔을 때 이후의 것 몇 편만을 모은 것이라 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659년(효종 10)에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의 간행 시기는 광해군(光海君) 연간으로 추정되나, 간행 경위를 알 수 있는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하지 않다. 다만 이산해(李山海)가 직접 적은 「기성록발」에 의하면, 임진왜란 이전의 저작은 병란 중에 대부분 산일되었으며, 그 이후의 저작은 저자가 직접 편찬하였다.

아들 이경전(李慶全)이 「기성록(箕城錄)」 이후 아버지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1, 2권은 1592년(선조 25) 강원도 평해(平海)에 유배 간 3년 동안 지은 시편을 정리, 필사(筆寫)하여 '기성록'이란 제목을 달았으며, 3권은 평해에 있는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정리한 것이다. 나머지 4, 5, 6권은 문집을 간행할 때 후손들이 이산해의 유문을 수습, 정리한 것으로 짐작된다.

1981년에 다시 『한산문헌총서(韓山文獻叢書)』 속에 수록되어 영인본으로 출판되었다.

구성과 내용

권 1~2는 '기성록'이라 하여, 1592년 강원도 평해 유배지로 가는 도중의 감회, 난중에 자녀를 잃은 애환, 유배지에서 본 경물(景物) 등을 읊은 시와 영사시(詠史詩) 등을 수록하였다.

권 3은 '기성록잡저'라고 하여 기(記)를 실었는데, 강원도 평해(平海) 일대의 촌락, 누각, 사찰에 대한 글 등이 있다.

권 4는 후집으로, '종현록(鍾峴錄)'이라 하여 시 작품을 14개의 록(錄)으로 구성하였다. 평해에서 돌아온 뒤 조정에서 물러나 있을 때의 작품들로 보인다. 증별시(贈別詩), 화차운(和次韻) 등 대인수작(對人酬酌)한 작품들과 만사(挽詞), 그리고 제화시(題畵詩)가 주를 이룬다.

권 5에는 「기성록」에 실리지 않은 글인 소(疏), 차(箚), 발(跋)이 실려 있다. 특히 「진폐차(陳弊箚)」에는 화전(火箭) 개발, 둔전(屯田) 설치, 수전(水戰) 육성 등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권 6에는 기(記)류 · 서(序)류 · 명(銘) · 묘갈명 · 묘비명 · 묘지명 · 제문(祭文) · 부(賦) 등을 수록하였다. 주로 만년에 시전촌(枾田村)에 은거할 때의 작품들로 보인다. 기에는 송월헌(松月軒) 등의 기문이 있고, 서에는 왕명을 받고 지은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이산해는 선조(宣祖) 때의 8문장(八文章)으로 평가된다. 이산해는 문(文)에 있어서는 「매월당문집서(梅月堂文集序)」를 비롯하여, 「달촌기(達村記)」 · 「황보촌기(黃保村記)」 · 「마암기(馬巖記)」 · 「해월헌기(海月軒記)」 · 「안당장전(安堂長傳)」 · 「안효자전(安孝子傳)」 · 「안주부전(安主簿傳)」 · 「월송정기(越松亭記)」 · 「망양정기(望洋亭記)」 · 「송월헌기(松月軒記)」 · 「운주사기(雲住寺記)」 · 「만초손부(滿招損賦)」 등이 유명하다. 또한 시에도 뛰어나 많은 시를 남겼다. 「감회(感懷)」 4수, 「차동파해주석실운(次東坡海州石室韻)」 · 「고종(孤蹤)」 · 「산중잡영(山中雜咏)」 6수, 「절서(節序)」 · 「만성(謾成)」 · 「해당(海棠)」 · 「견회(遣懷)」 · 「추야(秋夜)」 · 「전가잡영(田家雜咏)」 3수, 「낭음(浪吟)」 · 「월송교사(越松僑舍)」 20영(咏), 「기행」 · 「의고(擬古)」 4수 등이 시화집 등에 전한다.

이산해의 글 중에 「매월당문집서」는 김시습(金時習)의 인물을 재평가하는 데에 앞장을 선 글로, 후세에 김시습을 연구하는 데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운주사기」는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정면으로 도전한 글로, 그의 명석한 철학적 사상의 깊이를 엿볼 수 있는 글이다. 이 밖에 그가 평해(平海)로 귀양가 있을 때에 지은 「연군시(戀君詩)」는 귀양살이를 하는 중에서도 나라와 임금을 그리워하는 단심(丹心)을 나타낸 것으로 유명하다.

참고문헌

원전

『아계유고(鵝溪遺稿)』
이산해, 「기성록발」
최립, 「아계공기성록발」(『간이집』 권 3, 1631)

단행본

이상하 역, 『(국역)아계유고』(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97)

논문

김지현, 「아계 이산해의 한시 연구」(『인문사회과학논문집』 31,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2)
이상하, 「아계유고」(『한국문집총간:해제』,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98)
조동영, 「아계 이산해 문학의 연구」(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