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도총관,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희명(希明)
노포당(老圃堂)
시호
문희(文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41년(세종 23)
사망 연도
1517년(중종 12)
본관
문화(文化)
주요 관직
이조정랑|홍문관부제학|형조참판|대사헌|공조판서|도총관|형조판서|영의정
관련 사건
중종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도총관, 형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희명(希明), 호는 노포당(老圃堂). 개국원종공신 유만수(柳曼殊)의 고손으로, 증조는 상의중추원사(商議中椎院事) 유원지(柳原之)이다. 할아버지는 한성부판관 유종(柳淙)이고, 아버지는 세마 유사공(柳思恭)이며, 어머니는 종성절제사 홍상직(洪尙直)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고 일찍이 「금릉사(金陵詞)」를 지었는데, 의미가 장중하고 건실해 널리 회자되었다. 1459년(세조 5) 사마시에 장원하고, 이어서 1462년(세조 8)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예문관에 들어갔다. 1466년 문과 중시와 발영시(拔英試)에 각각 3등으로 급제, 이조정랑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홍문관부제학으로, 경연 시강관(侍講官)으로 활약했는데 특히 시문에 능해 성종의 총애가 돈독하였다. 1484년(성종 15) 공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이 되어 오랫동안 관기 확립에 힘쓰고,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형조참판이 되었다.

1487년 천추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동지중추부사·형조참판·공조참판·병조참판을 두루 역임하고 다시 대사헌에 임명되었다.

그 뒤 개성부유수를 거쳐 공조판서에 올랐다. 1494년 성종이 죽자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산역을 다스렸고, 1495년(연산군 1) 형조판서로 옮겨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이어서 이조판서·도총관을 거쳐 1498년(연산군 4) 한성부판윤이 되고, 이 해에 『성종실록』 찬수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다시 형조판서가 되어, 압록강 연안에 노략질을 일삼는 야인의 정벌 계획이 있자 신수근(愼守勤)과 함께 때가 아님을 적극적으로 논해 중단시켰다.

그 뒤 좌참찬·호조판서를 역임했으며, 1502년에는 시문에 능한 10인에 선발되어 시수상(詩首相)이라는 칭찬을 듣기도 하였다. 연산군의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하였다. 그러나 허락되지 않은 채, 이듬해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505년(연산군 11) 65세의 나이로 영의정에 올랐다.

이듬 해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이 중종반정을 단행하자, 수상으로서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책록되고,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실제로는 반정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차 사임을 요청했지만 허락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509년(중종 4) 도리어 연산조의 총신이었다는 대간들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극구 사양해 마침내 은퇴하였다.

1514년(중종 9) 다시 영의정을 제수받아 국정을 총괄하다가 3년 뒤인 1517년(중종 12)에 향년 77세로 사망하였다. 자학(字學)에 매우 정밀하고 의학·지리학에도 조예가 있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이락정집(二樂亭集)』
『목계유고(木溪遺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해동잡록(海東雜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