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우참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윤보(胤保)
삼탄(三灘)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22년(세종 4)
사망 연도
1484년(성종 15)
본관
양성(陽城)
주요 관직
장령|예조참의|호조참의|이조참의|예문관제학|충청도관찰사|예조참판|이조판서|우참찬|형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우참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윤보(胤保), 호는 삼탄(三灘). 고려조 시중 이춘부(李春富)의 현손이며, 이옥(李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사근(李思謹)이다.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온(李蒕)이며, 어머니는 이회(李薈)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8년(세종 20) 17세로 진사시에 합격하고, 1447년(세종 29)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집현전부수찬(集賢殿副修撰)에 임명되었다. 이어 부교리(副校理)·응교(應敎)에 승진하고, 1454년(단종 2) 장령(掌令)이 되었다. 세조가 즉위하자 집현전직제학으로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이듬해 예문관응교를 지내고, 1458년(세조 4) 예조참의가 되어 『초학자회언해본(初學字會諺解本)』을 찬정하였다. 이어 형조와 호조의 참의를 거쳐 1459년 사은사(謝恩使)의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조참의·예문관제학을 지냈다. 1462년 예문관제학으로서 사성을 겸하고, 세조가 지은 『병장설(兵將說)』을 찬수하였다.

1467년 충청도관찰사로 있을 때 병을 얻어 위중하자 국왕이 의약을 내렸다. 예종이 즉위하자 예조참판이 되어 명나라와의 외교 사무를 잘 처리하였다. 1471년(성종 2)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양성군(陽城君)으로 봉해졌다. 이어 예조판서가 되어 지경연사로서 경연 활동을 크게 일으켰다.

1472년 민간에 산재한 조종의 법전을 수집해 춘추관에 보관했고, 제사(諸史)의 간행·보급을 주청했으며, 1475년에는 교육 강화와 해불론(害佛論)을 제의하였다. 그리고 여러 차례 과거를 주관, 인재 등용에 힘썼으며, 왜인·야인의 접대를 주관하였다.

이어 우참찬이 되고, 1480년 이조·형조의 판서를 역임하면서 신숙주(申叔舟) 등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하였다. 1480년 주문사(奏聞使)의 부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와 그 공으로 노비 6구, 전지 40결을 받았다.

그러나 정사였던 한명회(韓明澮)의 사헌궁각사건(私獻弓角事件)에 연루되어 간관의 탄핵을 받았다. 그 뒤 이조판서·형조판서·우참찬·좌참찬으로서 문명을 날렸으나, 1483년 병이 심해져 사직을 청하자 한직인 지중추부사로 옮겨져 녹봉을 특별히 받았다.

성품은 사물을 접하면 힘써 대체(大體)를 알고자 했고, 널리 독서해 예·악·병(兵)·형(刑)·음양(陰陽)·율(律)·역(曆)에 두루 통달하였다. 특히 문장으로 이름을 남겼다. 청렴해 집안에 꾸민 것이 없었다고 한다. 저서로는 『삼탄집』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