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1년(인조 9) 2월에 옥천인 조흥빈(趙興賓)과 공주인 한설(韓渫)의 고변으로 드러난 사건이다.
옥천에 사는 권대진이 1629년경 요승(妖僧) 2인 및 몇몇 무뢰한들과 내왕하며 민중을 상대로 황당한 말을 유포시켜 그 행적을 의심받고 있었다.
1630년 정월 그의 아들 계(繼)·낙(絡) 형제가 조흥빈의 아들 완(浣)에게, “지금 영남과 호남 사이에는 팔대 장수가 있다. 이들이 동시에 군사를 일으켜 장차 큰 일을 도모할 것이다. 이들은 먼저 영남과 호남 사이에서 군사를 일으키는 명분을 왜적이 침입하였기 때문에 저들을 토벌한다는 데 두고 곧바로 서울을 유린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모의에 간여한 권대진 부자를 비롯해 정한, 양천식(楊天植) 형제, 이찬희(李贊希)·정후암(鄭厚淹), 박선검(朴先儉) 형제 등 16인을 나포해 국문하였다.
역모사건의 주축은 정한·김안국(金安國)·문일광(文日光)·권대진·양시태(楊時泰)·조철(趙澈) 등으로, 주모자는 정한이며 정인홍(鄭仁弘)의 조카들도 있었다.
그 가운데 호서장군(湖西將軍)이라고 하는 김자중(金自重)은 군사를 일으킨 뒤에 장시(場市)에서 난을 일으켜 직산·온양·천안 등의 관장(官長)을 살해하고 무기를 탈취하기로 하였다.
이들은 1628년 3월에 병사를 일으키려 하였으나, 마침 유효립모반사건(柳孝立謀反事件)이 터져 유효립 등이 복주(伏誅)되자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 다시 1630년 8월 또 일을 도모하려 하였으나 한회(韓會)의 옥사로 정한의 당여(黨與)들이 많이 죽는 바람에 거병하지 못하였다. 물론, 이들은 거사가 성공하면 정한은 도읍을 진잠(鎭岑)으로 옮길 계획까지 하였다 한다.
이 사건에 승복하고 처형된 사람은 정한 이하 30여인이었고 맞아 죽은 사람은 양시태 등 10여인이었다. 이어 귀양간 사람은 고용후(高用厚) 등 6인이며, 방면된 자는 최현(崔睍) 등 50여인이었다.
연루자들의 공술(供述)에서 드러난 광해군에 대한 이야기 등으로 보아 인조반정으로 실각한 북인 계통의 불만이 표출된 것 같은 느낌이다. 뒤에 고변자 조흥빈은 당상관에 승서(陞敍 : 올라서 서용됨.)되고, 한설은 실직(實職) 6품에 기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