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신밟기 (밟기)

목차
관련 정보
지신밟기 / 마당굿
지신밟기 / 마당굿
민속·인류
놀이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민속놀이.
이칭
이칭
매귀, 마당밟이
목차
정의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민속놀이.
내용

벽사진경(辟邪進慶 : 요사스런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스러운 일을 끌어들임)을 목적으로 하는 신앙적 마을행사로, 지방에 따라서 마당밟기·매구[埋鬼]·걸립(乞粒)·걸궁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꽹과리·징·북·장구·쇠납 등의 민속악기로 구성된 풍물을 선두로 소고패·양반·하동(河童)·포수·머슴과 탈을 쓴 각시 등이 마을의 당산(堂山)굿을 비롯하여 집집마다의 지신을 밟으면서 지신풀이가사를 창하며 춤과 익살, 재주를 연희하는 것으로, 마을의 지신에 대한 공연적(供演的) 성격을 띤 놀이이기도 하다.

지신밟기패가 자기 집에 당도하면 주인은 주·과·포의 고사상을 차리고, 또 주식(酒食)을 대접하며 전곡을 성의대로 희사하면, 그것을 모아 마을의 공동비용으로 사용한다. 농경민족인 우리 겨레는 예로부터 지방마다 행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는 영남지방에 많이 남아 있는 것 같다. 지신밟기의 절차는 지방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그 대강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음력 섣달 중에 악기·의상·도구를 준비하고 연습하는데, 인원은 기수(旗手)·사대부·팔대부·하동·포수·머슴·촌로(村老)·촌녀·각시(탈을 씀.) 등이며, 악사는 꽹과리·징·북·장구·날라리·소고로 구성하되 인원의 다과는 다를 수 있다.

사대부는 총지휘자격이고 하동과 포수가 상대역으로서 흥을 북돋우는 구실을 하면서 굿거리장단에 덧뵈기춤과 창을 주로 한다. 절차는 대개 정초에서 14일까지 주산(主山)과 당산을 비롯하여 집집마다 밟는다. 그 순서에 따라 간략한 설명과 창사(지신풀이)를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1) 주산지신풀이 주산의 신을 모시는 의미에서 맨 먼저 주산에 가서 술과 안주를 놓고 분향 재배한 연후에 풀이를 시작한다. “지신 지신 지신아 주산지신을 울리자. 천지현황 생긴 후에 일월성신이 밝았다. 산천이 개탁하고 만물이 번성할 제……주산성님께 발원이요. 이동네 가가호호 나갈 때는 반짐지고 돌아올 때는 온짐지고 부귀영화 안과태평(安過太平) 점지하여 주옵소서. 어히여루 주산님 만대유전(萬代流傳:길이길이 전하여 내려옴)을 누리소. (후렴)”

(2) 당산지신풀이 이때에도 주산에서와 마찬가지로 당산신을 위한 고사를 지낸 뒤에 지신을 밟는다. “지신 지신 지신아 당산지신을 울리자. ……이동네 동민들은 남녀노소 막론하고 단명자 수명장수 박복자 부귀공명 무자자 자손창성 병고자 즉득쾌차 농사자 장원하고 상업자 재수대통 왕기대통 주옵소서. 어히여루 당산님 만대유전을 누리소. (후렴)”

(3) 집돌이 당산풀이를 마치면 집집마다 지신풀이를 하는데, 그 순서에 따라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지신밟기패가 집에 당도하면 주인은 반가이 영접하고 소반에 정화수 세 그릇, 촛불 두 자루를 쌀을 담은 그릇에 꽂아 불을 밝힌다. 지신밟기 패는 마당놀이부터 시작하여 끝판에 이르는 동안 여러 가지 춤과 잡희를 한다.

① 대청지신풀이 : 이 대목은 장단·춤·가사가 대표적인 것으로 창사가 매우 길다. “지신 지신이 내려온다. 하늘이 생겨서 갑자년 땅이 생겨서 을축년…… 옥도끼 둘러메고 좌우로 노놔 서서 십리 만치 물러가 오리 만치 뛰어들어 한찰 치고 두찰 치니 나무 넘는 소리 봐라. 천지가 요란하고 사방이 진동한다. (후렴)” ② 큰방성주풀이 : “모셔 오자 모셔오자 이 집 성주를 모셔오자. ……울리소 울리소 만대유전을 울리소. 잡귀잡신은 물알로 만복은 이리로. (후렴)” ③ 각방치장풀이 : “이 집짓던 석 달만에 이집좋다 말을 듣고 온갖 사람 구경온다. 이 집 치장을 둘러봐라. ……교자상 자개판에 만판 진수를 차려놓고 일배일배 부일배에 세상만사가 여길세. (후렴)”

④ 조왕지신풀이 : “어히여루 지신아 조왕지신 울리자. 큰솥은 닷 말치 작은 솥은 서 말치. ……(후렴)” ⑤ 우물지신풀이 : “어히여루 지신아 용왕지신 울리자. ……(후렴)” ⑥ 장독지신풀이 : “어히여루 지신아 장독지신 울리자. ……(후렴)” ⑦ 도장지신풀이 : “……개리(가려)보자 천 석 만 석 개리 보자. ……(후렴)”

⑧ 마굿간지신풀이 : “……마굿간 지신을 울리자. 기리(르)자 우마 대마를 기리자. ……(후렴)” ⑨ 정낭(뒷간)지신풀이 : “……정낭지신 울리자. 막우자 온갖 질병 막우자 설사병도. ……(후렴)” ⑩ 삽짝(사립짝)지신풀이 : “……총든 도적도 칼든 도적도 막우자. ……(후렴)”

지신풀이가 끝나면 주인이 대접하는 음식을 먹고 전곡을 얻어 가지고 간다. 이때, 전곡을 많이 얻기 위하여 하동과 포수가 갖은 수단과 골계적 희극을 부린다. 얻은 재물은 마을의 공동경비에 사용한다.

참고문헌

『부산의 문화재』(부산시, 1977)
『한국의 민속예술』 1(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용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