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화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영산전 팔상탱 중 쌍림열반상
순천 송광사 영산전 팔상탱 중 쌍림열반상
회화
개념
천이나 종이에 부처, 보살, 성현들을 그려 벽에 거는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천이나 종이에 부처, 보살, 성현들을 그려 벽에 거는 불화.
내용

우리 나라에서 언제부터 탱화를 그리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존하는 탱화는 13세기경의 고려 작품이 국내에 5점 정도 전하고, 일본에 80여 점, 구미 지역에도 상당수 전하고 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이미 불화를 그렸다고 한다. 그리고 석굴암 조각의 팔부신장상(八部神將像)·사천왕상(四天王像) 등의 구도가 현재의 팔부신장도와 거의 같은 점 등으로 보아 오늘날 불화의 시원은 이미 삼국시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불화의 화폭에 각 존상을 배치하는 배열이나 여백의 이용 방법 등이 다르고, 기법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고려 불화의 경우에는 여러 존상을 같이 배열할 경우 주존(主尊)을 돋보이게 상방(上方)으로 우뚝 솟게 배열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불화에서는 보살상이나 불제자상이 주존을 둘러싸게 배열하고 있는 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 불교가 여러 보살 신앙을 발전, 전개시킨 데에서 연유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귀족 불교에서 대중 불교로 전개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기법이나 예술적인 가치의 측면에서 보면 고려시대 탱화가 훨씬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탱화가 귀족적 취향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조선시대 탱화는 민중적 취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탱화의 소재는 다양하나 시대에 따라 변천하는 신앙의 양상에 의하여 그 전개 양상도 달라진다. 우리 나라 탱화의 소재와 전개, 분화 양상(分化樣相)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불교를 절대적인 경지에서 보면 형상도 형체도 없는 것이므로 그것을 표현할 수가 없다. 그러나 부득이 그를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가상(假相)의 위에서 표현하게 된다. 불교에서는 흔히 부처를 법신불(法身佛)·보신불(報身佛)·화신불(化身佛)의 삼신불(三身佛)로 나누고 있다. 이중 화신불은 진실한 불신(佛身)인 법신과 보신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는 가상의 불신으로, 석가모니를 일러 화신불이라 하며, 이에 근거를 두고 부처의 모습 등을 표현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가상에는 반드시 처음과 마지막이 있다. 이 때문에 가상불인 석가는 결국 입멸(入滅)하고 법신불멸의 설법을 남기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설법 내용은 다시 가상의 문자에 의해 경전으로 만들어졌다.

법신불멸 법신상주(法身不滅法身常住)의 부처가 회화상에도 나타나게 된다. 그중 보다 일찍이 이룩된 것으로 흔히 아사세왕(阿闍世王)의 신하 우사(雨舍)의 <여래본행지도 如來本行之圖>를 손꼽게 된다. 이는 석가의 일생을 8상(相)으로 나눈 것으로 일명 석가팔상도(釋迦八相圖)라고도 한다.

팔상이란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을 가리킨다. 명칭상으로는 경론에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체로 강도솔(降兜率)·탁태(託胎)·강탄(降誕)·출가(出家)·항마(降魔)·성도(成道)·설법(說法)·열반(涅槃)의 내용을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팔상도에 의하면 석가의 일생은 천(天)·인(人)·불(佛)의 세 가지 모습에 의하여 성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중 석가모니의 불상(佛相)은 성도상·설법상·열반상이다. 보통 석가의 설법 내용을 경전상으로 볼 때 ≪화엄경≫·≪아함경 阿含經≫·≪방등경 方等經≫·≪반야경≫·≪법화경≫·≪열반경≫으로 그 순서를 구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전 내용을 팔상에 의해서 보면 ≪화엄경≫·≪법화경≫·≪열반경≫은 석가의 생애로 현현되고 있는 것이다. 즉, ≪화엄경≫은 성도의 불심(佛心)을, ≪법화경≫은 전법륜을, ≪열반경≫은 입열반(入涅槃)의 불심을 각각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나라 사찰 전래의 탱화도 이와 같은 석가팔상의 생애 중 뒤의 세 가지가 ≪화엄경≫·≪법화경≫의 내용을 도설화한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결국 우리 나라 탱화는 후불탱화가 중심이 되고 이 후불탱화에서 다시 분화되어 다양한 각종 탱화로 전개, 발전되고 있는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불탱화의 내용이 주로 ≪화엄경≫과 ≪법화경≫에 연유되고 있다는 것이다.

≪화엄경≫은 석가성도의 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진리의 세계는 한없이 깊은 광명에 의하여 비추어지고 규명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같은 세계를 연화장세계(蓮花藏世界)라 하고 근본 부처를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즉 석가모니의 성도상이 탱화로 그려지고 있음을 사찰에서 가끔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화엄탱화(華嚴幀畫) 또는 화엄변상도(華嚴變相圖)라 하고, 화엄전의 주불 뒤에 모셔졌을 때 화엄전 후불탱화라 한다.

≪법화경≫의 경우를 보면 ≪법화경≫은 8상 중 전법륜상에 해당한다. 이를 일러 영산회상도(靈山會相圖)라 한다. 영산이란 영축산(靈鷲山)의 준말로, 석가의 ≪법화경≫ 설법 장소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러나 보다 넓은 의미로 영산 회상은 일정한 장소에 구애됨이 없는 석가의 설법 모임을 지칭하게 된다. 우리 나라 사찰의 후불탱화는 이와 같은 석가설법의 광경을 도설화한 것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화엄탱화에서 자내증(自內證)의 선우(善友)인 보살과 천선중(天仙衆)은 다시 그 기능이 독립되어 신중탱화(神衆幀畫)로 분화된다. 신중단 의식(神衆壇儀式)에서 화엄신중이라 함은 이를 말하는 것이다. 즉, ≪화엄경≫에서 말하는 적멸도량에서 정각(正覺)을 이룸과 동시에 일체의 도량에서 정각을 이룬 무수한 보살과 금강역사(金剛力士) 등 33중(衆)이 있다.

이들 제성중(諸聖衆)은 인도 당시의 토속신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대승 불교가 발전함에 있어, 또는 지역을 달리함에 있어 수호신은 더욱 첨가되고 분화되어 제법선신중(諸法善神衆)으로서의 신중 신앙을 낳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앙에 의거하여 신중탱화가 발생하였다.

≪법화경≫의 도설은 영산 법회의 광경을 도설화한 것이다. ≪법화경≫의 서품(序品)에서 그 근거를 살필 수 있다. 즉,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보좌(寶座)에 앉아 보살들과 십대제자를 앞에 두고 설법을 하며 호법선신인 사대천왕(四大天王)이나 팔부신장(八部神將)이 도량을 호위하고 천선녀(天仙女)가 그 광경을 찬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의 호법선신중 또한 신중탱화로 분화되는 과정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신중단을 화엄신중이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영산 회상에 근거한 신중탱화의 유행은 고려하지 않음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관음탱화는 ≪법화경≫ 유통분(流通分)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그 근거를 살필 수 있다. 이 밖의 여러 후불탱화도 대체적으로 영산회상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탱화의 분화는 신앙 형태의 분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신앙의 분화가 우리 나라에서는 일차적으로 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 신앙으로 분화된다. 여기서 다시 이차적인 분화 현상이 나타나 보다 다양한 탱화가 도설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신앙 행위를 행하게 된다. 그것이 곧 상단의 불보살탱화(佛菩薩幀畫), 중단의 신중탱화, 하단의 영가 천도를 위한 영단탱화(靈壇幀畫)이다.

상단탱화는 봉안된 전각에 따라 대웅전 후불탱화, 화엄전 후불탱화, 극락전 후불탱화, 약사전 후불탱화, 용화전 후불탱화, 영산전 후불탱화, 관음전 후불탱화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탱화 역시 ≪화엄경≫과 ≪법화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법화경≫과 ≪화엄경≫이 우리 불교계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는 데에도 기인하겠다.

그러나 그 위에 ≪화엄경≫은 불교의 근본 도리를, ≪법화경≫은 그 근본 교리의 전법륜(轉法輪)의 성격을 지닌다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화엄 도설(華嚴圖說)보다 법화 회상(法華會相)의 도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찰이 가지는 전법(傳法)의 기능이 더욱 중요시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탱화를 생각할 때에는 화엄탱화를 제외하고는 일단 영산회상도를 근거로 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그 이후의 분화 과정을 살펴야만 된다.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주불로 한 불전이므로 그 후불탱화도 서방 극락세계를 도설화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사실은 일반 대웅전의 후불탱화와 같이 석가모니의 영산회상설법도와 같은 내용으로 되고 있음이 거의 통례이다. 왜냐하면 미타 신앙이 정토 삼부경에 의한 신앙임에는 틀림없으나, 이 경전의 설법자가 석가이고, 설법자 및 듣는 자가 ≪법화경≫과 거의 같은 비구·보살·십대제자로 되어 있는 전법륜상(轉法輪相)을 지니기 때문이다.

서방정토를 도설화한 탱화가 없는 것은 결코 아니다. 구품극락탱화(九品極樂幀畫)·극락영접도 등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하지만 이들 탱화는 상단탱화로서보다는 오히려 영가 천도를 위한 하단탱화로서 더 많이 봉안되고 있다.

약사전 후불탱화는 약사 정토의 특성을 그대로 도설화하고 있다. 약사 신앙은 ≪불설약사여래본원경 佛說藥師如來本願經≫에 의한 신앙이다. 그에 의하면 약사 정토의 2대보살로서 일광보살(日光菩薩)·월광보살(月光菩薩)이 여러 보살들의 우두머리가 되어 있다. 그리고 호법신장으로 십이신장을 들고 있다.

우리 나라 약사전 후불탱화의 호법신으로는 십이신장이 아닌 사천왕 등의 석가 정토의 호법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도사 약사전의 경우와 직지사의 약사탱화에는 사천왕과 십이신장을 동시에 그려 놓고 있다.

우리 나라 약사 신앙은 관음 신앙에서 볼 수 있는 ≪법화경≫ 유통분의 공덕에 강조점을 둠으로써 관음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관음 신앙에 의한 관음탱화의 분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것과 대비해 볼 수 있다. 또한 삼여래는 법신불·보신불·화신불로 할 경우와 석가·미타·약사의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를 들어 후불탱화의 도설을 보면 대웅전의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를 바탕으로 하고, 미타상과 그 좌우에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그리고 약사여래상과 그 좌우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보처로 배치하여 삼여래 후불탱화의 면모를 갖추게 하고 있다.

중단탱화의 중단은 신중단을 말한다. 이 신중탱화는 원래 상단탱화에 있어 호법선신으로서 상단탱화 도설의 한 요소이다. 그러나 신중 자체의 기능이 더욱 강조되어 독립된 신앙과 탱화를 가지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신중에 대한 신앙은 상단에서는 호법신으로서의 외호신(外護神)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호법과 옹호단 기능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그 기능이 곧 강복소재(降福消災 : 복을 내리고 재앙을 없앰)한다는 신앙으로 발전한다.

이렇게 볼 때 신중탱화는 소재회상도(消災會上圖)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화엄의 도리에서 생각하면, 석가의 바른 깨침을 이룬 것은 곧 만물만상(萬物萬上)이 바른 깨침을 이룬 것이 된다. 그러므로 우주의 모든 신은 모두 호법신으로 포함된다. 여기 여러 신은 석가 당시의 인도 토속신뿐 아니라, 그 이후 불교가 전파되는 지역 또는 그 시대의 모든 신들이 신중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늘날 104위(位)로 구성된 신중 위목을 보면 인도·중국·우리 나라의 토속신이 모두 포함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대체로 104위 위목 중에 상단과 중단의 일부, 하단의 일부에 인도 토속신이 있고, 중단의 북두칠성은 중국에서 첨가된 것이라 한다면, 하단신중은 한국적인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104위 중에서 어떤 신중을 중심으로 신중탱화를 구성하느냐 하는 것은 시대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 그 신앙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더욱 중요한 점은 어떤 신중을 중심으로 신중탱화를 구성하느냐 하는 문제가 일보 진전하여 신중 각자가 지닌 원래적인 신의 독립적인 기능을 더욱 중시하게 된다. 그래서 신중탱화의 이차적인 분화를 가져오게 된다. 예를 들자면 칠성탱화·제석탱화·산신탱화·조왕탱화·시왕탱화가 곧 그것이다.

칠성탱화의 분화 과정에서 보면 칠성은 신중탱화에서 중단신중으로 여타의 신중과 같이 교법 수호에 참여하는 신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칠성이 수명신으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조되어 대중의 신앙 대상이 되면서 신중탱화에서 칠성의 분화를 보게 된다.

제석탱화는 신중탱화에서 분화된 것이다. 제석은 신중탱화에서 보면 신중탱화 집단의 삼십삼천지거세주제석천왕(三十三天地居世主帝釋天王)의 위목에 해당된다. 이 같은 제석신앙이 독립되어 제석탱화를 구성한다.

산신 신앙은 오래전부터 전해 오는 우리 민족의 토속 신앙이다. 그러나 불교 전래 이후 불교에서는 산신을 호법선신으로 포용하였다. 이것이 신중탱화 하단위목의 봉청만덕고승성개한적주산신(奉請萬德高勝性皆閑寂主山神) 위목이다. 그런데 호법산신으로서의 선신이 불교화한 모습으로 다시 독립된 신앙을 가지게 되어 사찰 안에 산신각을 짓고 산신탱화를 봉안한다.

조왕 신앙도 우리 나라 재래의 민간 신앙이다. 이와 같은 민간 신앙을 불교에서는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포용하고 정화해 나가는 방법을 택한다. 그 일차적인 방법이 호법선신중으로서의 포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중으로서의 조왕은 다시 불교적으로 정화되어 분가되지 않을 수 없는 강한 성격 때문에 조왕신과 그에 봉안되는 조왕탱화의 성립을 보게 된다.

시왕탱화는 신중탱화 중단위목의 봉청장유음권위지옥주염마라왕(奉請掌幽陰勸爲地獄主閻摩羅王)에서 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염마라왕 신앙은 인도의 신앙이나 일찍이 불교의 신중 신앙에 포용된다. 이와 같은 호법선신으로서의 염마왕 신앙이 다시 중국의 시왕 신앙과 결부되어 독립된 신앙 형태를 형성하고 시왕탱화(十王幀畫)를 성립시킨다.

하단은 영가단(靈駕壇)이다. 영단의 하단 신앙은 조상 숭배 신앙에 연유한다. 조상의 영가를 극락에 왕생하게 한다는 데 두게 된다. 이로써 극락왕생 신앙인 정토 신앙과 결부되고, 그와 같은 신앙 현상이 감로탱화(甘露幀畫)라는 도설을 형성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정토 신앙과 그에 대한 탱화는 당연히 상단탱화인 극락전 후불탱화에서 살펴야 되겠지만, 극락전 후불탱화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극락왕생을 도설한 탱화는 상단에서보다 하단에서 더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하단은 대체로 불전의 좌측 벽면에 설치하고 영가의 위패나 사진을 봉안한다. 그리고 그 후면에 탱화를 내거는데, 이를 감로탱화라 한다. 이밖에도 지옥에서 구제될 것을 바라면서 그 방법을 찾고 또한 지옥에서 벗어나 이상향을 찾는 신앙을 나타낸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도 간과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탱화는 우리 나라 불교 신앙의 대상과 그 신앙 내용을 도설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탱화의 내용은 곧 우리 나라 불교 신앙의 내용과 형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불교 신앙의 형태는 매우 다양한 것이서 탱화 내용 또한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서 하나의 질서를 찾을 수 있다.

이것이 곧 상단·중단·하단의 분단법에 의한 신앙과 각 단의 상호 연관성에서의 신앙 형태이다. 이를 불교 신앙의 개합(開合)의 원리라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개합의 원리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이 바로 상단·중단·하단의 각종 탱화이다. 상단탱화에서는 불교의 근본 진리와 그 근본 진리의 설법상을 그리고, 그와 같은 근본 진리에 귀의한 공덕을 나타낸다.

중단탱화에서는 상단의 불법과 불교를 수호하는 호법신상을, 하단탱화에서는 상단과 중단의 신앙에 의한 많은 공덕을 조상에게로 돌리는 신앙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탱화의 내용에 나타난 신앙 형태는 상단탱화 하나로 귀일될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 화엄탱화로 귀일하는 신앙 체계를 살필 수 있다. 그러므로 개합의 신앙 체계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단탱화에는 불교의 근본상과 그의 설법상 그리고 그를 수호하는 신중상이 도설화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신앙은 자연히 하나의 공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에 만족하지 않고 다양한 탱화가 도설화된다는 것은 신앙의 구체화와 민중화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탱화에서 관음·약사·아미타 탱화 등이 분화되었다.

중단탱화에서는 시왕탱화에서의 지장(地藏)이 지장탱화로 전개된다. 또한 감로탱화에서의 극락내영과 접인(接引), 지장 등이 다시 지장도와 극락접인도(極樂接引圖)로 전개되었다.

상단탱화에서 신중을 호법신으로 포용하여 일차적인 습합 현상을 나타낸다. 다시 그 신중이 독립하여 신중탱화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 신중탱화에서 각기의 신중이 독립된 신앙 형태로 전개되어 칠성·산신·시왕·현왕 등의 도설화를 보게 된 것이다. 이들은 어떤 발전의 단계를 거쳐 분화되고 전개된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성의 관계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신앙의 표상인 우리 나라 탱화의 기본 성격은 밀교적인 성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탱화의 도설은 밀교의 만다라(曼茶羅)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단탱화는 밀교에서 말하는 능통일(能統一)의 객체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나머지 탱화는 소통일(所統一)의 객체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나라 탱화의 하나하나가 만다라일 수 있다. 또한 모든 탱화를 하나의 만다라 구조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조적 성격을 파악하지 않고는 개개의 탱화 내용을 규명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개합과 만다라적인 원리를 밀교의 교합 체계에 의하여 찾을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엄의 체계에서 찾아야 한다. 화엄의 원리 또한 밀교처럼 다양한 신앙 요소를 총섭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한국불화의 연구』(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고려불화의 연구』(홍윤식, 동화출판공사, 1984)
『만다라전』(호암갤러리, 1985)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