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굿

목차
국악
작품
걸립패(乞粒牌)나 남사당패(男寺黨牌)들이 갖가지 놀이를 순서대로 짜서 판놀음에서 솜씨를 보여주기 위해 벌이는 농악.
목차
정의
걸립패(乞粒牌)나 남사당패(男寺黨牌)들이 갖가지 놀이를 순서대로 짜서 판놀음에서 솜씨를 보여주기 위해 벌이는 농악.
내용

농악을 치는 굿패들은 당산(堂山)굿과 같은 마을굿을 농악으로 치는데, 서낭당에서 당굿을 칠 때는 당 앞에서 열을 지어 이리저리 판을 벌이는 놀음이나, 집집마다 돌면서 고사를 지내는 마당밟이(地神밟기)와 걸립굿을 칠 때의 마당놀음을 확대하여 걸립패들이 낮에 걸립을 하고, 밤에 구경꾼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농악놀이로 판놀음을 벌이는 데에서 생겼다.

나중에는 마을이나 저자를 돌며 판굿을 치고 행하(行下:놀이가 끝난 뒤에 주는 보수)를 받는 놀이패들이 생겼으니 남사당패·짠지패·포장걸립패 따위이다. 요사이에는 여성 농악단이라는 것이 생겨서 판굿을 치며 순회공연을 한 적이 있다. 현재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농악 경연, 각 지방 민속행사에서의 농악 경연은 모두 판굿농악이다. 구성은 지방마다 다르나 대개 다음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주로 길에서 이루어지는 길굿가락, 다음에는 상쇠의 인도에 의해 일렬종대로 서서 오른쪽으로 돌며, 1∼7채의 가락을 치는 채굿가락을 치며 돌다가 굿패들이 열을 지어 갖가지 도형을 지으며, 여러 가지 진법놀이를 벌이고 나서 농사짓는 시늉을 하는 농사풀이, 무동이 쇠꾼 어깨 위에 올라가서 춤추는 동고리, 상쇠놀이·설장구놀이·소고놀이, 열두발 상모돌리기와 같은 개인기를 보이는 벅구놀음, 굿패들이 민요를 합창하는 소리굿과 같은 놀음들을 벌인다.

이때는 고장에 따라서 쇠꾼들이 재담으로 연극을 벌이는 도둑재비를 하기도 하고, 수박치기·등 맞추기·기와밟기와 같은 놀이를 벌이기도 한다. 농악의 온갖 기예를 총 집성하여 그들의 기량을 발휘하는 농악인 만큼 음악적으로나 무용적으로 가장 기량이 높은 농악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전라남도국악실태조사(全羅南道國樂實態調査)』(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전라북도편(全羅北道篇)-』(문화재관리국, 1980)
『남사당패연구(男寺黨牌硏究)』(심우성, 동화출판공사, 1974)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