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도의용군은 6·25전쟁 때 학생의 신분으로 참전한 의용병이다. 최초는 서울 시내 학교의 학도호국단 간부 학생 200여 명이 조직한 비상학도대이다. 이들은 후방에서 피난민 구호, 전황 보도 등의 임무를 담당했으나 일부는 현역 입대하였고, 전투부대인 ‘대한학도의용대’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중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학도의용군에 참여한 학생 중 실전에 투입된 자가 2만 7700여 명, 후방지원 등에 투입된 자가 20만 명이나 되었다. 상당수의 여학생들도 간호원으로 출정하였다. 1951년 3월부터 정부에서 내린 복교령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로 돌아갔고, 일부는 다시 입대하였다.
학도의용군이 처음 편성된 것은 피난길에 나선 서울시내 각급 학교의 학도호국단 간부 학생 200여 명이 수원에 모여 ‘비상학도대’를 조직하면서부터였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교복과 교모를 그대로 착용한 채 소총과 실탄을 지급받아 1950년 6월 29일부터 한강 방어선을 지키고 있던 국군부대로 들어가 전투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국방부 정훈국은 비상학도대 산하에 있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피난민 구호, 전황 보도 및 가두 선전 등 주로 후방에서의 선무공작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많은 학생들은 후방에서의 임무 수행만으로는 의분을 달래지 못하여 개별적으로 현역 입대를 지원해 나갔고, 나머지 학생들도 국방부에 학도만으로 전투부대를 구성해서 일선에 나설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국방부의 고위 인사들은 국가의 장래를 짊어질 학도들의 참전을 만류하면서 정훈국의 지도에 따를 것을 종용하였다. 7월 1일 대전에 내려온 피난 학도들과 현지의 학도들은 다시 ‘대한학도의용대’를 스스로 조직하였다.
어린 중학생 소년에서 장성한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학도의용군의 이름으로 실전에 참여한 학도들은 그로부터 6 · 25전쟁의 전 기간을 통하여 모두 2만7700여 명에 이르렀고, 후방지역 또는 수복지역에서 선무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무려 20만 명이나 되었다.
개별적으로 현지 입대를 지원하여 국군 정규 부대의 장병으로 참전하는 학도들이 줄을 이었으며, 상당수의 여학생들도 간호원으로 출정하였다. 학도의용병들은 대구로 내려가 다시 한번 조직된 다음 국군 10개 사단과 그 예하 부대에 편입되어 마지막 보루였던 낙동강 방어선에서 계급도 군번도 없이 백의종군하는 가운데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그 가운데 약 700여 명의 학도병들은 7월 중순 부산에서 유엔군으로 편입되어 일본에 건너가 훈련을 마친 다음 9월 15일에 개시된 인천상륙작전에 정규 부대원으로 참전하였다.
또한 국군 제3사단 예하의 22연대와 26연대, 국군 제1사단 예하의 15연대는 7월 중순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보충병의 대부분을 학도병으로 채웠고, 8월 초순 대구에서 새로이 편성된 국군 25연대도 병력의 대부분을 학도병으로 채웠다.
이들 부대에 들어간 학도들은 기계(杞溪) · 안강(安康) · 다부동(多富洞) · 포항 등 여러 곳에서 숱한 희생을 입어 가며 조국 수호의 초석이 되었다.
8월 초 대구에서 육군본부 정훈감실 산하에 조직된 학도기간대(學徒基幹隊) 약 1,500여 명은 곧이어 밀양에서 창설된 국군 유격부대에 편입되었는데, 이들은 적의 후방지역으로 침투하여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그 중 제1대대는 인천상륙작전 당시 하나의 양동작전으로 감행된 경상북도 영덕지구에서의 상륙작전에 투입되어 100여 명의 희생자를 냈으며, 제2 · 제3 · 제5대대는 10월 초부터 태백산맥 일대에 투입되어 쫓겨 달아나는 적을 소탕하다가 12월부터는 다시 호남지구로 투입되어 그 잔당을 소탕하였다.
학도병들은 그 밖에도 공비의 출몰이 빈번하던 38선 이남의 취약지구 및 38선 이북의 수복지구에서 주민들에 대한 선무활동을 벌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 일부 학도병들은 포술훈련을 마친 다음 북진포병대를 조직하여 국군 제7사단 포병단과 함께 종군하면서 개성 · 평양 · 순천을 거쳐 덕천(德川)까지 진격하였다. 학도병들의 희생적인 애국정신은 낙동강 방어선의 최대 요충지이던 포항에서의 공방전으로 대표된다.
7월 14일 대구에서 군의 조직과는 별도로 오로지 학생들만으로 편성된 보병 제3사단의 학도의용군 71명은 동해안을 따라 밀고 내려온 북한 제5사단 및 766유격대에 맞서 포항시가를 사이에 두고 혈전을 벌이는 가운데 48명이 전사하는 막대한 희생을 입어 가면서도 이곳을 끝까지 사수했으며, 아군의 반격이 개시되자 북한군을 추격하여 한만(韓滿) 국경선까지 진격하였다.
국군이 38선을 넘어 북진하자 수복지역의 학도들도 스스로 학도호국단 · 학도의용대 · 대한청년단 학생부 등을 조직하여 국군의 작전을 지원하고 나섰다. 이들은 1 · 4후퇴와 더불어 집단적으로 남하하여 학도의용군의 이름으로 종군을 계속하였고, 그 중 많은 학생들이 정규 국군으로 입대했는데, 그 수는 4,000여 명에 이르렀다.
한편, 약 700여 명에 이르는 재일교포 학생들도 조국을 구출하기 위해 궐기하였다. 이들은 조총련의 온갖 협박과 방해공작을 무릅쓰고 유엔군 부대에 편입, 참전하여 59명이 전사하고 95명이 실종되는 희생을 치렀다.
1951년 3월 국군과 유엔군이 중공군의 인해전술을 저지하고 전선의 균형과 안정을 회복하자, 피난처를 찾아 남으로 내려갔던 국민들도 고향으로 돌아와 생업을 되찾기 시작하였다.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은 국가의 앞날을 짊어질 청년학도들은 시급히 학원으로 돌아가 학업을 계속하라는 담화를 발표하였고, 문교부는 전국에 흩어진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복교령을 내렸다.
① 모든 학도는 원래의 본분인 학업으로 돌아갈 것, ② 군복무로 학업이 중단된 학도의 군복무 사실이 인정되면 학교 당국은 무조건 복교를 인정할 것, ③ 군 및 각급 학교는 군복무로부터 복교하는 학도들에게 특별 배려를 해줄 것, ④ 군복무 중 학년 진급이 누락된 학도는 본인의 희망에 따라 학년 진급을 인정할 것 등이었다.
이에 따라 학도의용군은 3월 16일 강원도 홍천에서 무기를 놓고 군복을 벗게 되었으며, 다수의 북한 출신 학도병들을 비롯하여 끝까지 싸우기를 주장하던 학도들은 다시 현지에서 입대하여 합당한 계급과 군번을 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