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사회당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18년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이동휘 등이 조직한 한인 최초의 사회주의정당.
단체
설립 시기
1918년
설립자
이동휘|오 바실리|유동열|이한|김립 외
설립지
러시아 하바롭스크
후신
고려공산당[상해파]
발간지
자유종(自由鐘)
내용 요약

한인사회당은 1918년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이동휘(李東輝) 등이 조직한 한인 최초의 사회주의정당이다. 코민테른의 지부로 승인받았으며, 이동휘가 국무총리로 취임하며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고려공산당 이르쿠츠크파와 통합 노력이 실패하고, 고려공산당 상해파으로 재편되었다.

목차
정의
1918년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이동휘 등이 조직한 한인 최초의 사회주의정당.
변천 및 현황

1917년 주1 이후 러시아와 중국 지역에서 활동하던 저명한 민족운동가들은 1918년 2월[서력(西曆)[^2] 3월] 하바롭스크에서 '조선인정치망명자회의(朝鮮人政治亡命者會議)'를 개최하였다. 대회에서 "볼셰비키 주3에 찬동하여 고려혁명을 그 길로 촉진시키자."는 이동휘의 제안에 지지하였던 이들은 이후 한인사회당을 발기하여 1918년 4월 28일[서력 5월 11일] 최초의 한인 사회주의정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립하였다.

한인사회당은 중앙위원회 내에 조직부, 선전부, 군사부 3개 집행부를 두었다. 중앙위원으로는 위원장에 이동휘, 부위원장 오 바실리, 군사부장 유동열(柳東說), 조직부장 이한영(李翰榮), 선전부장 김립(金立) 등이 선임되었다.

보문사(普文社)라는 출판사를 두고 한글로 된 주4 출판물을 간행하고, 기관지로 『자유종(自由鐘)』을 발간하였다. 한인 학생들에게 민족교육을 하기 위해 문덕중학교(文德中學校)를 설립하였다.

군사부 산하에 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100여 명으로 이루어진 '한인사회당 주5을 조직하였다. 유동열과 전일(全一)이 지도한 '한인사회당 적위군'은 칼미코프 장군의 주6이 하바롭스크를 공격해오자 이에 맞서 크라스나야 레츠카 전투와 하바롭스크 시가지 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치렀다. 그러나 결국 패배하고 하바롭스크가 점령당하자 한인사회당 성원들은 각지로 뿔뿔이 흩어졌다.

19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제2차 당대회를 개최하고 주7과 통합하였다. 곧 조직될 국제공산당[코민테른(Comintern)[^8]]에 가입하기로 결의하고 박진순(朴鎭淳), 이한영, 박애(朴愛)를 대표자로 선정하여 모스크바로 파견하였다.

1920년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 참석한 박진순은 한인사회당을 코민테른 지부로 승인받고,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3 · 1운동 이후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와 상하이 임시정부가 통합하여 '통합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이동휘가 국무총리로 선임되자 본부를 상하이로 옮겼다. 이어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20년을 '독립전쟁의 원년'으로 선포하였다.

1920년 5월 러시아 외무인민위원부 극동전권위원 빌렌스키가 상하이로 파견한 김만겸(金萬謙)과 함께 재상해(在上海) 한인공산당(韓人共産黨)을 결성하였다. 여기에는 상하이의 저명한 민족운동가들인 여운형(呂運亨), 안병찬(安秉瓚), 조동호(趙東祜) 등도 가담하였다.

1920년 말 이동휘는 무장투쟁을 위해 상하이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지도기관으로 전면적으로 개편하자는 방안을 내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국무총리직을 사직하고 상하이 임시정부를 탈퇴하였다. 이후 박진순과 한형권(韓馨權)이 확보해 온 모스크바 자금을 기반으로 조선 내지와 러시아, 중국을 아우르는 전한(全韓) 공산당의 조직에 힘썼다.

러시아 이르쿠츠크의 한인 공산주의자들과 통합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1921년 5월 4일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이르쿠츠크파]이 창립되었다. 이에 대항하여 5월 20일 상하이에서 한인사회당 제3차 당대회를 개최하고, 당을 고려공산당[상해파]으로 개편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범우사, 1998)
김준엽 · 김창순, 『한국공산주의운동사』 1(청계출판사, 1967)
『思想彙報』 14(高等法院 檢事局 思想部, 1938)

논문

윤상원, 「일제강점기 全一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59,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주석
주1

1917년에 러시아에서 일어난 3월 혁명과 10월 혁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지고 케렌스키의 임시 정부가 성립하였으며 잇따라 볼셰비키에 의한 소비에트 정부가 성립하여 세계 최초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났다.    우리말샘

주2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기원으로 하는 책력. 서양에서 처음 쓰기 시작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우리말샘

주3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의 급진파인 볼셰비키의 정치적 사상 및 이론. 레닌이 내세운 제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혁명 시대의 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하여 전위당의 지도하에 혁명적인 투쟁으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추구하였다. 직업적 혁명가에 의한 소수 정예주의, 중앙 집권적 당 조직, 노농 동맹 따위가 특징이다.

주4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확립한 혁명적 사회주의 이론. 또는 그에 바탕을 둔 사회 운동.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정치 경제학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본주의 사회에 내재된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하여 사회주의 사회로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5

1918년 러시아 연해주 하바롭스크시에서 조직된 한인사회당 중심의 재러 한인 최초 무장 부대.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에 대한 공동 대책과 이를 통한 항일전을 전개하여 독립을 쟁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6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러시아 내전에서 싸운 반혁명 세력을 말한다. 백군은 1917년 겨울 모진 고난을 겪고난 뒤 1918년 4월 안톤 데니킨 장군의 지휘를 받게 된 군대로 비록 수는 적었지만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주7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감리교도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간부진은 단장 김규면, 부단장 한광택, 총무부장 최상진, 재무부장 이존수, 외무부장 김덕보 등이었고, 병력은 약 500명이었다. 1920년 봉오동 전투에 참전하여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우리말샘

주8

공산당의 통일적인 국제 조직. 1919년에 레닌의 주도 아래 소련 공산당과 독일 사회 민주당 좌파를 중심으로 창립되어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지도하다가 1943년에 해산되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