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물단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23년 중국 베이징에서 신채호, 유자명, 이회영 등이 조직한 아나키스트 운동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23년
해체 시기
1925년(추정)
설립자
신채호, 유자명, 이회영 외
설립지
중국 베이징
소재지
중국 베이징
후신
다물당
내용 요약

다물단은 1923년 중국 베이징에서 신채호, 유자명, 이회영 등이 조직한 아나키스트 운동 단체이다. 1924년 배천택, 김동삼 등이 조직한 국민당과 통합하여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다물단은 베이징의 친일 파 밀정 김달하를 처단하고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목차
정의
1923년 중국 베이징에서 신채호, 유자명, 이회영 등이 조직한 아나키스트 운동 단체.
변천 및 현황

1923년 중국 베이징에서 활동하던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신채호(申采浩), 유자명(柳子明), 이회영(李會榮) 등이 조직한 다물단(多勿團)은 같은 해 상하이에서 배천택(裵天澤), 김동삼(金東三), 남형우(南亨佑), 한진산(韓震山) 등이 조직하여 베이징으로 옮겨온 국민당(國民黨)과 1924년 통합하였다. 명칭은 다물당(多勿黨)으로 하였고, 1925년 4월 베이징 주1에서 조직 총회를 열었다. 단원은 50~60명이었다.

"옛 땅을 회복한다."는 뜻의 고구려 말인 다물은 용감(勇敢), 전진(前進), 쾌단(快斷) 등의 의미도 가지고 있고, "입을 다문다."는 뜻도 있다. 즉, 주2을 주지로 하여 밀정이라고 의심되는 사람을 처단하는 의열 투쟁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물단의 대표적인 의열 투쟁은 베이징의 거물 친일파 밀정 김달하(金達河) 처단 사건이 있다. 국내에서 애국 계몽 운동을 했던 김달하는 1916년부터 베이징에 살며 일제의 고급 밀정 노릇을 해왔다. 1922년부터는 김창숙(金昌淑)을 회유하려고 하였다.

1925년 3월 다물단은 의열단(義烈團)과의 합동 작전으로 김달하를 처단하였다. 다물단은 김달하 처단 후 주3을 국내 신문사에 우송하여 독립전쟁의 장애물이 되는 친일파를 처단할 것임을 천명하였다. 또한, 다물단은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로 단원을 파견하였다.

1925년 5월 주4은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로 잠입하여 경상북도 일대에서 다물단의 선언서를 제시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다 10월경 체포되었다.

다물단의 활동은 만주와 국내에서 1920년대 후반까지 전개되고는 있으나, 1925년을 고비로 사실상 해산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독립운동사』 5(국사편찬위원회, 1969)
『한국독립운동사』 4(국사편찬위원회, 1968)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상북도경찰부, 1934)

논문

박걸순, 「1920년대 북경의 한인 아나키즘운동과 의열투쟁」(『동양학』 5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3)
박환, 「1920년대 중반 북경지역 다물단의 성립과 활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 33,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2002)
주석
주1

베이징[北京]대학 캠퍼스 내에 위치했었다고 하는데, 확실치 않다.

주2

말없이 실제로 행하여짐. 또는 실제로 행함.    우리말샘

주3

"왜의 총독과 천황을 먼저 죽여야 하지만 조선인으로서 왜노의 혼을 가진 자를 먼저 소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주4

이명은 서춘파(徐春波). 1923년 1월 중국 베이징에서 남형우, 배천택 등이 조직한 국민당(뒤에 다물단)에 가입하여 재정부장에 임명되었으며, 국내에 파견되어 3회에 걸쳐 군자금을 모집하여 전달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