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협회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21년 9월 중국 광저우에서 조직된 한국 독립지원단체.
이칭
이칭
중한협회
단체
설립 시기
1921년 9월
설립자
임근|이우민|김기제 외
설립지
중국 광저우
발간지
광명월보(光明月報)
내용 요약

한중협회는 1921년 9월 27일 중국 광저우[廣州]에서 조직된 한국 독립지원단체이다. 임시정부 및 한국 측 인사와 중국 국민당 및 기타 중국 측 인사들이 한국 독립과 한중 우호를 위한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기관지 『광명월보(光明月報)』 를 발행하기 위한 기부금을 모집하고, 4개의 부서를 두어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목차
정의
1921년 9월 중국 광저우에서 조직된 한국 독립지원단체.
변천 및 현황

1919년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상하이[上海]에 거점을 두고,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상하이는 중국의 동해안에 있는 도시였기 때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에게는 중국 내륙과 주요 도시로 활동 가능한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된 것이 한국과 중국 사이의 우호단체 결성이었다. 그 시초는 1921년 1월에 한커우[漢口]에서 임시정부 선전원 이우민(李愚珉), 황영희(黃永熙), 이기창(李基彰) 등이 중국인들과 함께 결성한 한중호조사(中韓互助社)였다. 이어 창사[長沙], 안후이[安徽], 충칭[重慶]에서도 차례로 한중호조사가 결성되었다. 상하이에서는 5월 28일에 한중호조사 총사(總社)가 결성되었다.

1921년 9월 광저우에서도 한중 인사들로 구성된 단체가 결성되었다. 그런데 광저우에서 결성된 것은 호조사가 아닌 한중협회였다. 1921년 9월 23일 광저우도서관에서 발기인 대회를 열고, 9월 27일 정식으로 성립대회를 통해 결성되었다. 성립대회에는 한국 측 임근(林勤), 이우민, 김기제(金奇濟) 등이 추가된 7명이, 중국 측에서는 예샤셩[葉夏聲], 팅샹첸[丁象謙], 주녠쭈[朱念祖] 등이 참석하였다. 중국 측 참석자들은 비상국회(非常國會) 의원이며, 국민당(國民黨) 주1에 참여하고 있었다.

광저우에서 한중협회가 결성된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었다. 하나는 중국의 주요 도시에 한중호조사가 결성되는 과정이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1919년 8월 임시정부의 김창숙(金昌淑)이 쑨원[孫文]의 초청으로 광저우를 방문했을 당시에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이 시기에 임시정부 특사 신규식(申圭植)이 광주를 방문하였기 때문이다.

광저우의 한중협회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태평양회의(太平洋會議)에서 일본의 주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관지 『광명월보』를 발간하기 위한 기부금을 모집하였다. 여기에는 광저우 시장 쑨커[孫科] 등을 비롯한 유력인사들이 참여하였다.

협회의 사무를 위해서 학술, 의사(議事), 간사, 문서 등 4개의 부서와 주임 1명, 부주임 2명의 인력을 배치하였다. 한중협회는 중국 쑨원의 호법정부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공식 승인하는 등의 우호 관계 속에서 성립된 한중 연대라는 의의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시준, 『일제침략에 대한 한 · 중의 공동항전』(단국대학교 출판부, 2019)
호춘혜 지음, 신승하 옮김, 『중국안의 한국독립운동』(단국대학교 출판부, 1987)

논문

조덕천, 「1920년대 중한호조사의 결성과 한중연대」(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한시준, 「大韓民國 臨時政府와 중국 廣州의 관계」(『한국독립운동사연구』 45,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주석
주1

중국은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으로 청(淸)이 붕괴되고 중화민국을 성립하였지만, 위안스카이[袁世凱]의 북양군벌정부(北洋軍閥政府)가 이를 뒤엎으면서 여러 군벌이 할거하는 혼란한 정국이 계속되었다. 1917년 쑨원[孫文]이 중화민국의 헌법을 지키기 위한 호법군정부(護法軍政府)를 조직하여 호법전쟁(護法戰爭)을 일으켰고, 1921년 5월 광저우[廣州]에서 호법정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