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현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전라북도 이리장터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5년 2월 5일
사망 연도
1919년 4월 4일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박도현은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익산에서 이리 장날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 · 1운동 당시 이리 남전교회 전도사였다. 4월 4일 이리 장터 독립만세운동을 기독교인들과 사전에 계획하고 주도하였다. 이리 장터에 모인 300여 명의 군중 시위가 격렬해지자 이를 진압하는 일본 경찰과 헌병의 발포로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전라북도 이리장터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19년 4월 4일 전라북도 주1에서는 남전교회(南田敎會) 전도사였던 문용기(文鏞璂), 박도현(朴道鉉) 등의 주도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박도현은 남전교회 최대진(崔大珍) 목사와 기독교인인 문용기(文鏞祺), 김치옥(金致玉), 박성엽(朴成燁), 장경춘(張京春) 등과 함께 4월 4일 이리 장날을 기해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협의하였다. 그리고 전라북도 만세운동의 연락책이었던 김병수(金炳洙)에게 전해 받은 독립선언서태극기를 수천 장 더 만드는 등 사흘간 밤낮으로 준비하였다.

4월 4일 12시 30분, 이리 장터에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300여 명의 군중들이 모이자 박도현과 문용기 등은 미리 준비한 독립선언문을 학생과 시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들은 군중들과 함께 시가를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불렀다. 일본 경찰과 헌병은 시위대를 해산시키려 하였지만, 이들은 응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저항하였다.

시위 군중들이 1,000여 명으로 늘어나자 일본 경찰은 결국 소방대원과 주2 직원들을 동원하여 시위 군중들에게 무차별 발포를 하고 곤봉과 갈고리로 폭행을 가하였다. 이때 박도현은 현장에서 일본 경찰의 총에 맞아 순국하였다. 박도현와 함께 문용기, 박영문(朴泳文), 장경춘, 서공유(徐公有)[서정만(徐廷萬)], 이충규(李忠圭)가 순국하였고, 10여 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39명이 체포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4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도장관보고(道長官報告)」(1919. 4. 11.)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주석
주1

전라북도에 있던 시.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익산군과 합쳐져 익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주2

대교농장(大橋農場)은 1907년 9월 오오하시[大橋與市]에 의해 개설되어 익산시장(지금의 남부시장)에 사무소를 건축하고, 이후 소유지 1,300여 정보(町步)의 논으로 농업경영을 시작하였다. 1915년 당시 익산 지역의 3대 농장 중의 하나로 익산 지역 택지의 대부분은 대교농장의 소유였다고 하며, 대교농장의 쌀 창고는 호남 최대였다고 전한다. 이곳은 1919년 3 · 1운동 당시 대교농장 직원들이 만세시위를 벌이는 주민들을 구타한 곳이기도 하다.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