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양참사댁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양동호 가옥
화순 양동호 가옥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헛간채 · 문간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민가.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헛간채 · 문간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민가.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800년대 말에 지은 집으로 평야지대에 인접한 마을 지주의 집이다. 안채(40평)·사랑채(20평)·헛간채(15평)와 문간채가 짜임새 있게 일곽을 이루었다.

낮은 배산(背山)에는 대나무 숲이 울창하고, 주변에 많은 과일나무가 자라고 있다. 장방형으로 네모반듯한 대지에 동향으로 집을 지었다. 대지는 뒤가 상당히 높고 앞은 낮아서 골목길에 접하여 있다. 대문은 남향으로 하여 대지의 약간 옆구리에 붙여놓았다.

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의 왼쪽 면이 된다. 사랑채는 一자형으로 우진각지붕으로 기와를 얹었다. 정면이 6칸인 이 사랑채는 전면에 툇마루가 있고, 왼쪽으로부터 대청·사랑방·윗방·아랫방·부엌이 있는데 측면은 2칸이다. 전면으로 보조기둥을 세우고 함석으로 차양을 널찍하게 설치하였다.

사랑마당은 넓어서 마당의 한쪽으로 측간이 있고, 그 옆으로 화단을 만들어 나무를 심었다. 사랑채의 남단에 붙어 있는 중문을 들어서면 안마당이 되는데 문간의 한쪽으로 헛간채가 계속되어 있다. 헛간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작은 규모이다.

또한, 안채는 ㄇ형인데 좌우의 돌출된 상태가 약간 다르다. 북쪽에 해당하는 부엌이 있는 부분은 전면으로 2칸이 돌출되었고, 남쪽은 1칸이 돌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정면이 7칸이고, 측면이 1칸 반인데 남쪽의 돌출부분에 온돌방을 배치하고, 북쪽의 부엌 옆에 안방과 정지방을 배치한 외에는 대부분 마루로 하여 대청이 넓은 집이 되었다.

전면에는 툇마루가 기둥 밖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후면의 툇마루와 마찬가지로 최근에 설치한 것이다. 부엌은 3칸으로 넓게 잡았고, 북쪽으로 반칸통을 덧달아 내어 토벽으로 막아 찬장을 놓거나 살강을 설치하여 쓰도록 하였다.

이 안채의 후면으로 반 칸을 덧달아 내어 쓰고 있는데, 뒤에 증축된 것으로 본래의 모습과는 다르다. 이 집은 전면으로만 좌우가 돌출된 것이 아니라 후면으로도 조금씩 돌출되어 있다.

물론 건물의 양끝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약 1자 정도가 돌출되어 있어 외관상 느끼지 못할 뿐이다. ㄇ형의 집이기 때문에 전면 기단이 넓어 유효하게 쓸 수 있다. 부엌이 있는 뒤쪽으로 장독대가 있고 그 주변으로 여러 그루의 감나무가 서 있다.

곡간채는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북쪽에 정면 4칸, 측면 1칸의 규모로 세워져 있다. 안채의 규모가 큰 집으로 창건연대가 오래된 집이며, 전퇴의 구조가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구조의 집이다. 가묘(家廟)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