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

목차
관련 정보
황새
황새
동물
생물
문화재
황새과에 속하는 조류.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천연기념물(1968년 05월 31일 지정)
소재지
기타 전국일원
목차
정의
황새과에 속하는 조류.
내용

학명은 Ciconia ciconiaboyciana SWINHOE이다. 전장은 112㎝이고 날개를 폈을 때의 날개폭은 2m에 달한다. 물가에 사는 새이며 부리는 곧고 굵다.

몸집은 흰색이고 첫째 날개깃은 검은색이나, 제7깃털에서 제11깃털까지의 외판(外瓣) 가장자리를 제외하고는 은회색이다. 둘째 날개깃은 은회색이나 가장자리는 검은색으로 그 가장자리 흑색부는 안쪽 날개깃일수록 커진다. 셋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

첫째 날개덮깃과 큰날개덮깃은 검은색이고 부리는 검은색이거나 흑갈색이다. 눈 주위의 나출부는 적색이고 다리는 암적색이다.

황새는 유럽 중부와 남부·이베리아반도·아프리카북부·터키·이란·파미르고원 부근·우수리지방·중국 동부지방·우리 나라 및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북부의 번식집단은 겨울에 아프리카·인도 북부·중국 동북부로 이동한다.

유럽의 황새(붉은부리황새)는 몸집이 작고 부리가 붉으나 파미르황새는 몸집이 크고 부리가 붉다. 아시아 동부의 황새는 몸집이 크고 부리는 검은색이다.

우리 나라의 이 아종은 시베리아 아무르·우수리 지방, 중국 동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겨울에는 일부의 집단이 남하 이동하여 중국동부와 간혹 우리 나라 등지에서 월동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황새는 황해도와 충청북도 일원에서 8·15광복 전까지 흔히 번식하였던 텃새였다. 농촌에 산재하는 미루나무·느릅나무·팽나무·물푸레나무·감나무·은행나무 등 독립수에 둥지를 틀었지만, 소나무 소림(疏林)에 둥지를 틀기도 하였다.

그러나 6·25전쟁과 1960년을 전후하여 황새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마지막 번식지였던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 무수동의 한 쌍마저도 1971년 4월 4일 수컷이 사살된 이래 1983년까지 무정란만 낳아 왔다.

1983년 8월 16일 극도로 쇠약해진 황새는 서울 창경원으로 옮겨와 구조작전 끝에 회복되어 현재 남서울대공원에서 사육중에 있으며, 앞으로 인공번식을 꾀하고 있으나 전망은 비관적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시까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던 충청북도 진천·음성 및 충청남도 예산의 번식지들은 벌써 자취를 감추어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고 말았다.

지구상에서 유일한 생존집단은 소련 시베리아 시호테알린 자연보호구에서 번식하고 있는 약 650마리의 집단뿐이다. 황새가 우리 나라에서 흔한 새였다는 것은 소나무 위에 앉아 있는 황새를 송단(松檀)의 황새 또는 관학(鸛鶴)이라 하여 그림과 자수 등에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1968년 5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종 자체를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황새는 3월 중순에서 5월 사이에 한배에 3∼4개의 흰 알을 낳아 약 30일간 포란한 후 53∼55일간 육추한다. 먹이로는 개구리·미꾸라지·뱀·가재·곤충 등을 먹으며, 겨울에는 벼뿌리도 캐먹는다.

참고문헌

『한국의 천연기념물-조류편-』(원병오, 문교부, 1975)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한국자연보존협회, 1981)
『경기도의 동식물도감』(경기도,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원병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