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온수리 성공회성당 ( )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중 본당 정면
강화 온수리 성공회 성당 중 본당 정면
개신교
유적
문화재
대한제국기에 건립된 한식목구조 건물로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위치하는 성공회 성당건물.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대한제국기에 건립된 한식목구조 건물로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위치하는 성공회 성당건물.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강화군 온수리 성공회 성당의 본채인 예배당 건물과 2층 종탑은 2003년 10월 27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대한제국 시기인 1906년(고종 43) 영국인 주교 조마가(Mark N. Trollope)가 지은 성당으로 우리나라에 전래된 초기 서양 기독교의 교회양식을 볼 수 있는 목조건물이다.

내용

현재 남아있는 성당은 2고주(高柱) 5량가(梁架)의 목조의 예배당과 2층 종탑 2동이다. 예배당의 지붕은 주1이며 정면9칸 측면3칸이다. 종탑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중앙의 2층에 종루가 있다. 원래 본채 건물의 외벽은 목조기둥이었다고 하나 현재는 조적조로 변형되어 있는데, 서도의 중앙교회 건물 구조 및 양식과 매우 흡사하다. 지붕은 전통기와로 덮었으며, 처마는 홑처마로서 팔작지붕이다. 지붕 용마루 끝망과 뒤쪽에 십자가를 세웠고 합각 중앙에는 십자가 모양으로 붉은 벽돌을 쌓았다.

성당 정면은 건물의 서면으로 출입구이고, 중앙 칸에는 두 짝의 양식 주2주3를 달았다. 양측 칸은 중앙에 유리창문을 설치했고 중방 밑은 벽돌을 쌓아 벽체로 하였다. 기둥 위 창방과 납도리 사이에는 접시받침을 배치하여 건물의 격을 높였다. 건물의 동면은 중앙 칸에 양식 판문 한 짝을 설치하여 본당 뒷문으로 삼았고, 양측 칸은 중방 위에 작은 유리창을 달았다. 건물의 남면은 양단 한 칸만 기둥위 창방과 주4 사이에 접시받침을 설치하였다.

본당 내부는 중앙에 두 줄의 고주(高柱)를 세우고 비교적 가는 부재(部材)로 된 보를 걸었으며, 고주 머리에서 보 밑을 주5으로 받쳤다. 보 위 중앙에는 주6으로 마루도리를 받쳤으며, 마루도리 밑에는 직접 장혀[長舌][^7]을 붙이지 않고 접시받침을 배치하고 접시받침 밑에 장혀형 장재(長材)를 걸었다.

본당의 중방 밑 벽돌벽은 20년 전에 기둥하부 부식이 심하여 절단하고 중방 밑 전체를 벽돌벽으로 보수한 것이다. 원래는 입방체 화강석 기초 위에 세워진 2조 호형(弧形)으로 귀깍음한 각주(角柱)의 벽체는 전통기법의 회벽처리로 마감하였다. 현재 화강암 초석은 부근에 보존되고 있다.

종루 건물은 원래 모두 전통 목재건축기법으로 축조한 것으로 현존 건물과 같은 모습의 건물이었으나, 본당 보수시 부식이 심했던 기둥과 벽체를 모두 해체하고 시멘트 블록으로 축조하고, 지붕만 목조건축으로 꾸민 것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기법을 활용하여 종교적인 성당건축 방법과 공간 구성을 확립한 동서 절충식 강당형의 목조건물로, 초기 성공회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종교사 및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강화도』(이영미, 김영사, 2004)
『인천광역시사』(인천광역시, 2002)
주석
주1

지붕 위의 양옆에 박공으로 ‘人’ 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각. 우리말샘

주2

널빤지로 만든 문. 우리말샘

주3

문틀이나 창틀에 끼워서 여닫게 되어 있는 문이나 창의 한 짝. 우리말샘

주4

모가 나게 만든 도리. 우리말샘

주5

큰 규모의 목조 건축물에서, 도리가 좌우로 구르지 아니하도록 기둥 위와 도리 사이에 설치하는 기둥 받침. 풀잎 무늬를 새겨 넣는다. 우리말샘

주6

두꺼운 널빤지로 만든 대공. 우리말샘

주7

장여.

집필자
정진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