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고속도로 ()

목차
관련 정보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교통
지명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이칭
이칭
고속국도 제15호선
내용 요약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총 연장 340.8㎞로 고속국도 제15호선이다. 2001년 12월 21일 완공되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개통으로 태안해안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고군산군도 등 해안 관광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서해 연안의 인천남동공단, 안산산업기지, 시화공단, 아산공단, 군장공단, 대불산업기지 등의 물동량 수송에도 기여하고 있다. 2008년 기준 1일 교통량은 승용차 35,867대, 버스 1,346대, 화물차 15,489대 등 총 52,702대에 달한다.

정의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개설

고속국도 제15호선이다.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경기도 등의 서해 연안을 따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까지 이르는 고속국도이며, 총 연장은 340.8㎞이다. 경부고속도로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고속국도로 1990년 12월 착공하여 2001년 12월 21일 완공하였다.

서해안고속도로의 개통으로 태안해안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고군산군도 등 천혜의 해안 관광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서해 연안의 인천남동공단, 안산산업기지, 시화공단, 아산공단, 군장공단, 대불산업기지 등의 물동량 수송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수도권 서남부 및 충청남도, 호남 지역의 교통량을 분산하여 기존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의 혼잡을 크게 완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주말과 명절연휴 기간에는 행락 및 귀성․귀경차량으로 인해 일부 구간에서 상습적인 정체를 빚기도 한다.

송악~서평택나들목 구간 사이의 아산만 지역에는 길이 7.3㎞, 너비 31.4m, 높이 62m의 초대형 주1서해대교가 건설되어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서해안고속도로 건설이 처음 논의된 것은 1980년이지만, 본격적으로 구체화된 것은 1987년부터이다. 과거 국토계획 및 경제개발 축(軸)에서 소외되었던 서해안 지역의 관광, 간척자원, 용수, 토지 등 개발 잠재력을 제고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건설되었는데, 예산 제약으로 1990년 착공 이래 구간별로 공사가 나누어 진행되었다.

계획 초기에는 고속도로 기점이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이었기 때문에 1994년 7월 인천~안산 구간(27.6㎞)이 가장 먼저 개통되었다. 1996년 12월 안산~안중 구간(42.7㎞), 1998년 8월 무안~목포 구간(23.2㎞), 1998년 10월 서천~군산 구간(22.7㎞)이 각각 개통되었으며, 2000년 11월 서해대교 완공와 더불어 서평택~당진 구간이 연결되었다.

2001년 8월 고속도로노선체계 변경으로 기존 인천~안산 구간이 제2경인영동고속도로에 나뉘어 편입된 반면, 고속국도 제16호선 서울안산고속도로 전구간이 서해안고속도로에 새롭게 통합되었다.

2001년 9월 당진~서천 구간(103.7㎞)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조기 개통하였고 같은 해 12월 21일 군산~무안 구간(114.3㎞)이 마지막으로 개통함으로써 현재의 서해안고속도로가 완성되었다.

현황

2010년 9월 현재 서해안고속도로는 터널 17개(무안터널, 순산터널 등 총 연장 8,263m), 교량 827개(총연장 94,638m) 등의 도로 시설과 분기점 9개(함평 · 고창 · 동서천 · 당진 · 서평택 · 안산 · 팔곡 · 조남 · 일직), 나들목 영업소 29개(목포 · 일로 · 무안 · 함평 · 영광 · 고창 · 선운산 · 줄포 · 부안 · 서김제 · 동군산 · 군산 · 서천 · 춘장대 · 무창포 · 대천 · 광천 · 홍성 · 해미 · 서산 · 당진 · 송악 · 서평택 · 발안 · 비봉 · 매송 · 목감 · 광명역 · 금천), 본선 영업소 2개(목포 · 서서울), 휴게소 10개(함평천지 · 고창고인돌 · 군산 · 서천 · 대천 · 홍성 · 서산 · 행담도 · 화성 · 목감간이)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차로 수는 목포~당진분기점, 일직분기점~금천나들목 등은 왕복 4차로, 당진~안산분기점, 조남~목감분기점 구간은 왕복 6차로, 목감~일직분기점 구간은 왕복 8차로, 안산~조남분기점 구간은 왕복 10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일직분기점에서 제2경인고속도로(고속국도 110호선), 조남분기점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100호선), 안산분기점 및 팔곡분기점에서 영동고속도로(고속국도 50호선), 서평택분기점에서 평택충주고속도로(고속국도 40호선), 당진분기점에서 당진-상주고속도로(고속국도 30호선), 동서천분기점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고속국도 151호선), 고창분기점에서 고창-담양고속도로(고속국도 253호선), 함평분기점에서 무안광주 ·88올림픽고속도로(고속국도 12호선)와 직접 연결되며 군산나들목에서는 군산~전주간 고속화도로와 접속된다.

2008년 기준 1일 교통량은 승용차 35,867대, 버스 1,346대, 화물차 15,489대 등 총 52,702대에 달하며, 차량 주행 속도는 전 차량에 대해 목포~매송 구간은 최고 110㎞/h, 최저 60㎞/h, 매송~금천 구간은 최고 100㎞/h, 최저 50㎞/h로 제한하고 있다.

참고문헌

『도로현황조서』(국토해양부, 2009)
한국도로공사(www.ex.co.kr)
주석
주1

양쪽에 높이 세운 버팀 기둥에서 비스듬히 드리운 쇠줄로 다리 위의 도리를 지탱하게 된 다리. 물의 흐름이 빠르고 수심이 깊은 곳에 놓는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