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율저근피탕 ()

목차
의약학
개념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질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태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질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고종 31) 이제마(李濟馬)가 저술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기록되어 있다.

이질은 대개 육기(六氣: 한의학에서 말하는 대표적인 風·寒·暑·濕·燥·火를 이름) 중 습(濕)과 열(熱)이 하초(下焦: 배꼽 아래의 배설기능과 생식기능을 주관하는 부위)에 울결(鬱結: 기혈이 한곳에 몰려서 풀리지 못함)하여 기와 혈에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여 생기는 병이다.

이질은 열이 중·상초(中·上焦)에 울결하여 생기거나 하초에 울결되어 생기기도 하지만 태음인의 이질은 열이 중·하초에 울결되어 생기는 것이 많다. 그 까닭은 태음인은 간기(肝氣)가 왕성하고 폐기(肺氣)가 부족한 특징이 있으므로, 여기에다 화(火)가 울결하게 되면 소장에 울화가 전달되어 이질이 생긴다.

처방은 건율(乾栗) 37.5g, 저근백피(樗根白皮) 11.25∼18.75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환을 만들어 복용하기도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저근백피 18.75g만 사용하기도 한다.

군약(君藥)으로 사용된 건율은 보신(補腎)하면서 위장의 기능을 보완하여 주므로 소장의 기운을 상승시켜 주고, 여기에 습열(濕熱)을 없애 주면서 폐와 위의 담(痰)을 제거해 주는 저근백피를 사용하여, 위장의 기운이 상승하는 데 장애가 없어지면서 위와 아래에 울체(鬱滯)되어 있는 기운이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습열이 풀리면서 양(陽)은 상승하고 음(陰)은 하강하는 작용이 활발해지므로 이질의 증상은 차츰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행기파혈(行氣破血: 기를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앰)하면서 습열을 제거하는 방법은 폐기를 더욱 조(燥)하게 만들어 태음인의 체질적 결함에 해를 미치므로 후장승양거적(厚腸升陽去積)하면서 습열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