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수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왕경등처관군만호부만호, 삼주호부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무략장군순마천호|왕경등처관군만호부만호|삼주호부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왕경등처관군만호부만호, 삼주호부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내료(內僚)로서 피리[笛]를 잘 불어 충렬왕의 총애를 받았고, 그로 인하여 권세도 부렸다.

1282년(충렬왕 8) 왕의 청에 의하여 원나라로부터 무략장군순마천호(武略將軍巡馬千戶)의 벼슬을 받았고, 1293년 다시 왕경등처관군만호부만호(王京等處管軍萬戶府萬戶)에 임명되고 삼주호부(三珠虎符)도 하사받았다.

충렬왕 초 염승익(廉承益) · 윤수(尹秀) · 이정(李貞) 등의 내관과 더불어 전장(田莊)을 많이 설치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경작시키고, 또 근처의 민전(民田)으로부터도 조세를 받아들여 국가재정을 어렵게 만드는 폐단을 끼쳤다.

그러나 일본정벌을 준비할 때 인후(印侯)가 군사들로 하여금 백성의 말을 빼앗게 하자 이를 금지시켰으며, 또 감찰시사(監察侍史) 허유전(許有全)이 왕이 총애하는 후궁의 참소로 순마소(巡馬所)에 감금되자 이를 구제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