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복 ()

관복(대례복)
관복(대례복)
의생활
물품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正服).
내용 요약

관복은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正服)이다. 우리나라에서 관복 제도가 정해진 것은 삼국시대부터라고 추정되며, 옷이나 관모의 색상이나 관모에 꽂는 장식으로 품급을 구별했을 것이다. 이후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복두와 단령을 입는 공복 제도를 수용하고, 용도에 따라 조복, 제복, 상복, 공복 등의 제도로 나누어 정했다. 고려 말부터 명의 제도를 받아들여 관복을 개정한 후, 조선에서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세부적인 변화도 있었다. 갑오경장 이후 관복이 간소화되었다가 서구식 관복으로 바뀌기 이전까지 큰 틀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정의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正服).
형태와 용도

관복의 종류별로 구성을 보면, 문무백관은 모두 조복으로는 양관(梁冠)을 쓰고, 안에는 주20을 입고, 그 위에 적초의(赤綃衣), 주21을 입었다. 허리에는 대대(大帶)혁대(革帶)를 둘렀으며, 앞에는 폐슬(蔽膝), 뒤에는 수(綬), 좌우에는 패옥(佩玉)을 차고, 말(襪)과 혜(鞋)를 신은 후, 홀(笏)을 손에 들었다. 품계에 따라 양관의 세로선인 양(梁)의 수(數), 허리띠의 장식과 패옥, 홀의 재료, 수의 무늬 등에 차이가 있었다.

제복은 조복과 같은 구성이지만 청초의(靑綃衣)주22이 적은 양관을 착용한 것이 달랐다. 한편 관리들이 가장 자주 입는 집무복인 상복과 외국 사신과 만나거나, 종적인 문제를 논의하는 주23주24에서 입는 공복(公服)은 단령포(團領袍)를 입고 품대(品帶)를 띠며 화(靴)를 신는 점이 같았다. 다만 공복에는 복두(幞頭), 상복에는 사모(紗帽)를 머리에 썼으며, 상복에는 흉배(胸背)를 달지만 홀(笏)은 들지 않았다. 반면 공복에는 홀을 들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공복에서의 단령은 1품에서 정3품까지는 홍포, 종3품에서 6품까지는 청포, 7품에서 9품은 녹포였다. 이것이 영조대에는 3품 이상은 담홍포(淡紅袍), 3품 이하는 홍포로 바뀌었음을 『속대전(續大典)』(1746)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공복의 착용 빈도가 줄었는데, 『대전통편(大典通編)』(1785)에는 3품 이하 공복의 색상이 청록색으로 변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상복에 입은 단령의 색상은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었지만 현록색을 선호하였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수록된 악사의 단령은 공복의 소매가 상복의 단령보다 훨씬 넓게 그려져 있다. 문양으로 문무관과 주25을 구분하기 쉽게 한 흉배 제도는 1454년(단종2) 처음 정한 이후 연산군숙종, 영조, 고종에 거쳐 문양의 변화가 있었다.

『경국대전』에 없는 관복 제도 중에 시복(時服)이 있었다. 시복은 상복과 마찬가지로 단령에 사모를 착용한다. 명칭과 용도에 혼란이 있었지만, 1610년(광해군 2) 관복 제도를 정비하면서 흉배 달린 흑단령은 상복으로 의례복의 용도로, 흉배가 없는 홍단령은 시복으로 일상 집무 때 착용하는 것으로 정착되었다.

군사(軍事)와 관련되어 입었던 융복(戎服)은 비상시나 전쟁시, 왕 행차에 시위할 때,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할 때 입었다. 주립(朱笠)을 쓰고 주26주27를 착용했다. 17세기 말엽부터 좁은 소매의 동다리〔狹袖〕와 전복(戰服)으로 구성된 군복(軍服)을 입게 되었다.

변천과 현황

병자호란 이후에도 조선은 청의 제도를 수용하지 않았다. 관복 제도의 큰 틀은 유지되었으나 사회 변화에 따라 세부적인 착용 규정이나 품목별로 형태의 변화가 있었다. 조복의 경우 『경국대전』에서는 9품까지 모두 착용하도록 정해졌으나 조선 후기에는 4품까지만 조복을 입고 그 이하는 흑단령을 착용했다. 조복의 중단도 백초중단에서 청초중단으로 바뀌고, 주28 대신 목화를 신게 되었다. 관모나 포, 화 등 각 복식 품목마다 세부적인 양식의 변화도 있었다. 조선 초에 제정된 백관의 관복의 기본틀은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관복은 1884년(고종2)에 공복 · 상복 · 시복을 하나로 통합해 흉배 달린 흑단령으로 정했으며, 연이어 관복의 간소화와 서구식 관복의 채택이 이루어졌다. 1894년 7월부터 1896년 2년까지 있었던 주29 이후 주30이던 단령포는 주31의 단령으로 바뀌어 주32으로 착용되었으며, 주33으로는 주34를 입게 되었다. 서구식 관복은 1895년 「육군복장규칙 陸軍服裝規則」이 제정되어 서구식 군복으로, 1899년에는 외교관, 1900년에는 문관복(文官服)이 양복으로 정해졌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홍나영·신혜성·이은진, 『(개정판)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교문사, 2020)

논문

이승해, 『고려시대 官服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주석
주1

높고 낮음이나 좋고 나쁨 따위의 차이를 여러 층으로 구분한 단계. 우리말샘

주2

고구려 때에, 임금이 쓰던 모자. 우리말샘

주3

신라 때에, 씨족을 중심으로 나눈 경주의 여섯 행정 구역. 급량부, 사량부, 본피부, 점량부, 한지부(漢祇部), 습비부(習比部)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신라 제29대 왕 ‘태종 무열왕’의 본명. 우리말샘

주5

옷과 띠라는 뜻으로, 갖추어 입는 옷차림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남자의 웃옷과 갓이라는 뜻으로, 남자가 정식으로 갖추어 입는 옷차림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관직과 관계에 따라 벼슬아치의 공복을 네 가지 색으로 구분하여 제정한 복색 제도. 신라 법흥왕 때는 자(紫), 비(緋), 녹(綠), 청(靑)을, 고려 시대에는 자(紫), 단(丹), 비(緋), 녹(綠)으로 구분하였다. 우리말샘

주9

중국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 951년에 곽위(郭威)가 후한(後漢)을 멸하고 변경(汴京)을 도읍으로 하여 세운 것으로 3대 10년 만에 송나라에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0

불빛과 같이 짙은 분홍색. 우리말샘

주11

잉엇과의 민물고기. 붕어를 관상용(觀賞用)으로 개량한 사육종으로 모양과 빛깔이 다른 많은 품종이 있다. 우리말샘

주12

바다빙엇과의 민물고기. 몸의 길이는 20~30cm이고 모양이 가늘고 길며, 어두운 녹황색 바탕에 배 쪽으로 갈수록 연한 흰색이고 눈 위는 누런색, 위턱은 흰색, 아래턱은 녹색이다. 어릴 때에는 바다에서 지내고 이른 봄에 강을 거슬러 올라 급류에서 살다가 다시 하류로 가 알을 낳는다. 두만강을 제외한 한국의 각 하천과 제주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13

머리의 아랫부분은 깎고 정수리 부위의 머리를 땋아 내린 머리. 고려 시대에 중국 원나라의 영향으로 충렬왕 때 시행되었으나 공민왕 때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주14

고려 상류층 부인이 입던 평상복. 몽고에서 전해진 옷으로 후에 조선에서는 철릭으로 입었다. 우리말샘

주15

모든 문관과 무관. 우리말샘

주16

옻칠을 한 갓. 어두운 흑갈색이다. 우리말샘

주17

전립 따위의 위에 꼭지처럼 만들어 달던 꾸밈새. 품계(品階)에 따라 금, 은, 옥, 석 따위의 구별이 있었다. 우리말샘

주18

빛깔이 하얀 옥. 우리말샘

주19

푸르고 투명하며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한 강옥(鋼玉)의 하나. 그릇을 만드는 데 쓰는데 질이 좋은 것은 보석으로 취급된다. 구월의 탄생석이다. 우리말샘

주20

조선 시대에, 일품 이하의 모든 벼슬아치가 조복(朝服)과 최복(衰服) 아래에 받쳐 입던, 흰 생초로 된 소매가 넓은 두루마기. 우리말샘

주21

조선 시대에, 붉은 생초(生綃)로 만들어 백관이 조복에 갖추어 입던 아랫도리. 우리말샘

주22

금가루나 금빛이 나는 가루를 바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23

공적인 문제를 의논하기 위하여 열리는 모임. 우리말샘

주24

국가나 공공 단체의 일. 우리말샘

주25

벼슬의 등급. 우리말샘

주26

무관이 입던 공복(公服). 직령(直領)으로서, 허리에 주름이 잡히고 큰 소매가 달렸는데, 당상관은 남색이고 당하관은 분홍색이다. 우리말샘

주27

조선 시대에 입던, 밑이 길고 소매가 없는 조끼형의 관복. 또는 그런 군복. 우리말샘

주28

‘승혜’를 달리 이르는 말. 검은색 융으로 만들었다는 데서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29

‘갑오개혁’의 전 용어. 우리말샘

주30

통이 넓은 소매. 우리말샘

주31

좁은 소매. 우리말샘

주32

나라의 중대한 의식이 있을 때에 벼슬아치가 입던 예복. 우리말샘

주33

평상시에 임금을 뵐 때 입던 약식의 예복. 소매가 좁고 깃은 둥글다. 우리말샘

주34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 주로 외출할 때 입는다. 옷자락이 무릎까지 내려오며, 소매ㆍ무ㆍ섶ㆍ깃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홍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