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불의체 ()

목차
관련 정보
동국이상국집 / 구불의체
동국이상국집 / 구불의체
한문학
개념
고려후기의 문장가 이규보가 제시한 한시 작법에서의 9가지 좋지 않은 문체.
목차
정의
고려후기의 문장가 이규보가 제시한 한시 작법에서의 9가지 좋지 않은 문체.
내용

용사(用事)·성률(聲律)·수사(修辭)등에 대해 논한 것으로 시작법에 있어서 피해야 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한 것이다.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권22에 있는 「논시중미지약언(論詩中微旨略言)」에 실려 있다. 홍만종(洪萬宗)의 『시화총림(詩話叢林)』 첫머리에 있는 「백운소설(白雲小說)」에 실려 있다. 「구불의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한편의 시 속에 사람의 이름을 많이 쓰면, 귀신을 수레에 가득 실은 것과 같은 문체인 재귀영거체(載鬼盈車體)이다. ② 옛 사람의 글뜻을 몰래 취해쓰면 서툰 도둑이 잡히기 쉬운 것과 같은 문체인 졸도이금체(拙盜易擒體)이다.

③ 강운(强韻)으로 압운(押韻)하되 근거가 없으면 쇠뇌를 당기나, 그 쇠뇌를 이기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체인 만노불승체(挽弩不勝體)이다. ④ 그 재주는 헤아리지 않고 정도에 지나치게 압운하면, 술을 너무 많이 마신 것과 같은 문체인 음주과량체(飮酒過量體)이다.

⑤ 어려운 글자 쓰기를 좋아하여 사람을 미혹하게 하면, 구덩이를 파놓고 장님을 이끄는 것과 같은 문체인 설갱도맹체(設坑導盲體)이다. ⑥ 말이 순탄하지 않으면서 남에게 그것을 쓰도록 하면, 남에게 억지로 자기를 따르도록 하는 것과 같은 문체인 강인종기체(强人從己體)이다.

⑦ 일상용어를 많이 쓰면 촌사람들의 이야기식과 같은 문체인 촌부회담체(村夫會談體)이다. ⑧ 성인의 이름쓰기를 좋아하면 존귀한 이름을 함부로 범하는 것과 같은 문체인 능범존귀체(凌犯尊貴體)이다. ⑨ 글이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으면 강아지풀이 밭에 가득찬 것과 같은 문체인 낭유만전체(莨莠滿田體)이다.

‘구불의체’는 이규보가 시를 창작해가는 가운데 체험으로 깨닫고 스스로 터득한 것임을 먼저 밝혔다. 이러한 시의 병폐를 극복한 뒤에라야 더불어 시를 논할 수 있다고 설파하였다.

이것은 실제 창작상의 문제이다. 용사와 독창성, 압운의 문제, 시의 난해성과 논리성·참신성 등을 두루 지적한 뒤에 마지막으로 시적 형상화의 문제를 언급하였다. 각체의 명칭을 비유의 방법을 써서 알기 쉽게 표현한 것이 흥미롭다.

이규보는 신의(新意)를 중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구불의체를 통해서 보면 설의(設意)와 시어를 다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의 내용과 형식미를 함께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 구불의체의 특징인 것이다.

참고문헌

『이규보문학연구』(김진영, 집문당, 1984)
「이규보의 시론: 백운소설을 중심으로」(최운식, 『한국한문학연구』2, 1977)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