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 ()

김기림(1908-?)
김기림(1908-?)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기상도』, 『태양의 풍속』 등을 저술한 시인. 문학평론가.
이칭
이칭
인손(寅孫), 편석촌(片石村)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8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학성
관련 사건
한국전쟁
내용 요약

김기림은 일제강점기 『기상도』, 『태양의 풍속』 등을 저술한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다. 호는 편석촌이다. 1930년 니혼대학 문학예술과를 졸업하고 조선일보사 사회부 기자로 입사했다. 1933년 김유정·이태준 등과 함께 구인회 결성에 참여했다. 시집으로는 『기상도』(1936), 『태양의 풍속』(1939), 『바다와 나비』(1946) 등이 있다. 평론 및 저서로서 『시론』(1947), 『시의 이해』(1950) 등이 있다. 김기림은 한국 문학사에서 주지주의 시의 도입과 전체시의 주장, 과학적 방법에 의거한 시학 정립을 위해 노력했다.

정의
일제강점기 『기상도』, 『태양의 풍속』 등을 저술한 시인. 문학평론가.
개설

아명은 인손(寅孫). 호는 편석촌(片石村). 함경북도 학성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914년 임명보통학교(臨溟普通學校)에 입학, 1921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 중퇴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주1에 편입했다.

1930년 니혼대학[日本大學] 전문부 문학예술과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조선일보사 사회부 기자로 입사, 뒤에 신설된 학예부 기자로 옮겼다.

1933년 김유정(金裕貞) · 이태준(李泰俊) 등과 구인회(九人會) 결성에 참가하고, 1936년에 재차 도일, 센다이(仙台)의 도호쿠대학[東北大學] 영문과에 입학, 1939년에 졸업했다. 졸업논문은 영국의 문예비평가인 리처즈(Richards, I. A.)론이었다. 귀국 후(1939) 조선일보사 기자로 복직, 학예부장을 역임했다.

1940년 『조선일보』의 강제 폐간으로 한때 실직했으며, 1942년 낙향하여 고향 근처의 경성중학교(鏡成中學校)의 영어 교사로 부임했으며, 영어 과목이 폐지되자 수학을 가르쳤으며, 이때의 제자에 시인 김규동(金奎東)이 있다. 1946년 1월 공산화된 북한에서 월남하였는데, 이 때 많은 서적과 가재를 탈취당해 곤궁한 나날을 보냈다.

1946년 2월 제1회 조선문학자대회 때 ‘우리 시의 방향’에 대하여 연설하였으나, 정부수립 전후에 전향하였다.

월남 후 중앙대학 · 연희대학 등에 강사로 출강하다가 서울대학교 조교수가 되고, 그가 설립한 신문화연구소의 소장이 되었다. 한국전쟁 때 미처 피난하지 못하고 북의 정치보위부에 의해 납북되어 북한에서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시기는 알 수 없다. 부인과 5남매가 서울에 살고 있다.

『조선일보』 학예부 기자로 재직하면서 시 「가거라 새로운 생활(生活)로」(『조선일보』, 1930.9.6.) · 「슈르레알리스트」(조선일보, 1930.9.30.) · 「꿈꾸는 진주(眞珠)여 바다로 가자」(『조선일보』, 1931.1.23.) · 「전율(戰慄)하는 세기(世紀)」( 『학등』 창간호, 1931.10.) · 「고대 고대(苦待)」( 『신동아』 창간호, 1931.11.) 등을 발표하여 시단에 등단했다.

그리고 주지주의(主知主義)에 관한 단상(斷想)인 「피에로의 독백」(『조선일보』, 1931.1.27.) · 「시의 기술 · 인식 · 현실 등의 제문제」(『조선일보』, 1931.2.11∼14.) 등을 발표하여 평론계에 등단, 그 뒤 주로 시창작과 비평의 두 분야에서 활동했다.

첫 시집이며 장시인 『기상도(氣象圖)』(창문사, 1936 ; 재판 산호장, 1948)는 엘리어트(Eliot, T. S.)의 장시 「황무지(荒蕪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통일적인 주제의식의 유무에 대한 시비, 민족 현실에 대한 역사의식의 결여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상과 감각의 통합을 시도한 주지주의 시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 자본주의 문명을 비판한 것이다.

제2시집 『태양의 풍속』(학예사, 1939)은 몇 편의 이미지즘(imagism) 시를 제외하고는 주지성과 지적 유희성이 두드러진 것이고, 광복 후의 『바다와 나비』(신문화연구소, 1946), 좌경적인 『새노래』(아문각, 1947) 등이 있다. 『바다와 나비』는 삶의 한계의식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투명한 이미지로 처리한 점이 돋보인다.

『새노래』는 모더니즘(modernism)을 극복하여 민족공동체의 발견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암시하나 예술로서의 성숙성이 모자란다. 중편소설 「철도연변」( 『조광』, 1935.12∼1936.2.) 등 3편의 소설과 희곡 등이 있으나 주목을 받을 만한 대상은 아닌 듯하다. 평론 및 저서로서 『시론(詩論)』(백양당, 1947) · 『시의 이해』(을유문화사, 1950) 등이 있다.

전자는 1930년대에 영미 이미지즘과 주지주의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의 시사(詩史)를 전환시킨 중요 시론집이며, 후자는 리처즈의 심리학적 이론에 의거한 계몽적인 저서이다. 이밖에 『문학개론(文學槪論)』(신문화연구소, 1946) · 『문장론신강(文章論新講)』(민중서관, 1949), 수필집 『바다와 육체』(평범사, 1948)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그가 우리나라 문학사에 미친 긍정적 영향은 주지주의 시의 도입과 그 창작, 과학적 방법에 의거한 시학(詩學)의 정립을 위한 노력, 자연발생적인 시를 거부하고 의식적인 방법에 의한 제작의 강조, 음악이나 감정보다는 이미지와 지성의 강조, 민족 및 사회현실의 수용과 모더니즘의 극복, 그리고 전체시의 주장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기림』(김유중, 문학세계사, 1996)
『김기림 연구』(김학동, 시문학사, 1991)
『한국 모더니즘시 연구』(문덕수, 시문학사, 1981)
『한국시사 연구』(박철희, 일조각, 1980)
『궁핍한 시대의 시인』(금우창, 민음사, 1977)
『한국대표시론비판』(김윤식, 일지사, 1975)
『한국현대시 연구』(김용직, 일지사, 1974)
『시학평전』(송욱, 일조각, 1963)
「현대시의 생리와 성격」(최재서,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주석
주1

한자로는 입교중학(立敎中學)이다. 명교중학(名敎中學)이라는 설도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