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은 영미 모더니스트들의 이미지즘과 주지주의, I. A. 리처드의 과학적 시학 등의 서구 현대시 사상을 도입한 이론가이자 1930년대 모더니즘 시론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상도』(1935), 『태양의 풍속』(1939), 『바다와 나비』(1946), 『새노래』(1948) 등의 창작 활동을 한 시인이다. 해방 이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 및 시부 위원장을 맡으며 민족의식을 표출했고 『문학개론』(시문화연구소, 1946), 『시론』(백양당, 1947), 『바다와 육체』(평범사, 1948) 등 논저와 수필집을 발간하며 활발한 저서 활동을 하던 중 한국전쟁 발발 직후에 납북되었다.
『새노래』는 B6판, 126면으로 되어 있다. 김기림의 네 번째 시집으로 1948년 4월 아문각(雅文閣)에서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대신 미국 시인 샌드벅(Sandburg, C.)의 시를 실었고, 주1으로 「새노래에 대하야」가 있다. 해방 이후 발표된 32편의 시 작품을 2부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다.
제1부에는 「나의 노래」 · 「우리 모두의 꿈이 아니냐」 · 「새나라송(頌)」 · 「파도소리 헤치고」 · 「아메리카」 등 16편과 제2부에는 「연가(戀歌)」 · 「구절(句節)도 아닌 두서너 마디」 · 「사슴의 노래」 · 「벽(壁)을 헐자」 · 「새해의 노래」 등 16편으로 각각 이루어졌다. 이들은 저자도 주2에서 ‘새날에 부치는 노래’라고 하였듯이, 일제 치하에서 벗어나 나라를 되찾은 감격과 앞으로 펼쳐질 새 나라에 대한 희망찬 보람을 노래하고 있다.
시집에 수록된 대부분의 시는 민족의 신생(新生)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새나라송」에서 “용광로에 불을 켜라 새 나라의 심장에/철선을 뽑고 철근을 늘이고 철판을 피리자/세멘과 철과 희망 위에/아무도 흔들 수 없는 새 나라 세워 가자//녹슬은 궤도에 우리들의 기관차 달리자/전쟁에 해어진 화차와 트럭에/벽돌을 싣자 세멘을 올리자/애매한 지배와 굴욕이 좀먹던 부락과 나루에/내 나라 굳은 터 다져 가자”라고 노래한다.
김기림은 시집 말미의 「새노래에 대하야」에서 말하기를 시의 주3을 위해서는 첫째는 사람이 흘린 피와 더운 입김이 섞여야 한다는 것, 둘째는 이를 위해서는 실천의 주4와 정열 속에서 통일하는 전인간(全人間)의 목소리, 곧 생활의 현실 속에서 우러나야 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김기림의 민족의식은 공동체, 인민의 표현을 통해 드러난다. 김기림은 「시와 민족」(1947)에서 공동체 의식의 유지자이며 우리 민족의 실체로서 인민 주체를 상술하고 “오늘의 시인은 인민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제창한 바 있다.
김기림 연구에서 『새노래』는 “작품의 예술적 가치가 거의 없는 좌경적인 정치주의 시집”이나 “잠시 시류에 휩싸인” 해방기 문학 일반으로 소략하게 다루어졌다. 김기림은 해방 이후 탈식민적 인식과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시적 과제를 제시한 셈이다. 해방기에 김기림은 조선문학가동맹 시부 위원장과 좌경 색채의 공립통신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고 정치적 문화 운동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김기림은 해방기 좌우 이념의 대립과는 다른 차원에서 소위 제3세계 신생국의 해방을 주장하는 제유적 의미를 밝히고 마지막까지 좌우 합작을 통한 통일 민족 국가 수립을 주장하는 등 중간파의 입장에서 평가되기도 한다. 특히 『새나라』는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共同體意識), 그리고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민족적 주5을 노래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바다와 나비』의 주6 일부나 『새노래』의 시편은 해방의 감격과 환희를 바탕으로 민족국가 건설이라는 당대의 절박한 의제를 공유하면서 예리한 통찰력(洞察力)으로 세계와 마주서야 한다는 결의(決意)와 참여의 시작(詩作) 태도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