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비녀 (비녀)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문헌
동백사에서 모윤숙의 시 「38선의 밤」 · 「진통」 · 「옥비녀」등을 수록하여 1947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동백사에서 모윤숙의 시 「38선의 밤」 · 「진통」 · 「옥비녀」등을 수록하여 1947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102면. 작자의 제2시집으로 1947년 동백사에서 간행하였다. 서두에 지은이의 머리말이 있고 내용은 2부로 나뉘어, 1부에 「38선의 밤」·「우리 군대」·「진통」·「옥비녀」·「출발」 등 16편, 2부에 「국화」·「장미의 말」·「그 음성」·「침묵」·「야경」 등 34편으로 모두 50편을 수록하였다.

내용

처녀시집 『빛나는 지역』(1933) 이후부터 해방기에 이르기까지의 서정시들도 포함되어 있으나, 해방된 조국에서 느끼는 광복의 감격과 조국에 대한 애정 및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짙게 드러낸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시집 중의 대표적인 시에 해당하는 「옥비녀」와 「이 생명을」은 소박한 서술적 경향으로 조국의 혼란과 위기의식을 노래한 작품에 해당한다.

“그러나 임이여/반역자를 죽이기 전/자본가의 빌딩에 불을 놓기 전/먼저 조선의 생명을 살리는 길/오! 이러한 투쟁에 있나 가슴에 물어보소서/성내어 이론을 자랑하기 전/어루만져 불쌍한 동족을 이해해 보셨나이까?//이러지 않고야 임이여!/언제 그 약속한 그날이 온단 말입니까?”(「옥비녀」)에서는 정치적 혼란과 투쟁으로 인해 이곳 저곳에서 테러가 자행되는 등 동족들이 희생되고 있다는 생각, 정치적 이념의 대립으로 인한 조국의 혼란을 소박한 민족주의로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한편 “임이 브르시면 달려가지요/금띠로 장식한 치마가 없어도/진주로 꿰맨 목도리가 없어도/임이 오라시면 나는 가지요/임이 살리시면 나는 사오리다/먹을 것 메말라 창고가 비었어도/빗더미로 옘집 채찍 맞으면서도/임이 살라시면 나는 살아요”(「이 생명을」)에서는 조국을 향한 희생정신을 옥비녀를 간직하고 있는 여인의 심정에 비유하여 표현한 시로 평가된다.

의의와 평가

첫 시집 『빛나는 지역』이 빛나는 생명에 대한 경외감과 희망의 감정을 민족의 운명에 투사시켰다면 제2시집에 와서는 이를 좀더 구체적인 현실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해방문학 50년』(한국문인협회, 정음사, 1966)
「한국보수우익문예조직의 형성과 전개」(김철, 『문학과 논리』3호, 199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