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원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여진 정벌에서 활약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66년(문종 20)
사망 연도
1148년(의종 2)
본관
광양(光陽)
출생지
전라남도 광양시
주요 관직
형부시랑|대경|동지추밀원사|호부상서 겸 삼사사(戶部尙書 兼 三司使)
내용 요약

김의원은 고려 전기 여진 정벌에서 활약한 문신이다. 문벌 출신으로 과거에 합격한 후에 수령을 거쳐 여진 정벌에 참여하였다. 여진이 길주(吉州)를 포위했을 때 방어에 성공하였으며, 이후 요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이자겸의 가문인 인주이씨 가문과 혼인 관계로 밀접하다.

정의
고려 전기 여진 정벌에서 활약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의원(金義元)은 1066년(문종 20) 전라도 나주 광양현(光陽縣)에서 태어났으며, 조상은 신라계로 문벌 가문이다. 아버지는 주1을 지낸 김양감(金良鑑)이고, 어머니는 주2를 지낸 최연하(崔延嘏)의 딸이다. 첫째 부인과 둘째 부인 모두 명문인 인주이씨(仁州李氏)이다. 첫째 사위는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지은 최윤의(崔允儀)이다.

주요 활동

김의원은 성격이 준엄하고 용모와 힘이 뛰어나며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을 좋아하였다. 17세에 주3에 입격한 후에 주4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23세에 성불도감판관(成佛都監判官)을 거쳐 감찰어사, 연주(漣州: 경기도 연천) 수령이 되었다.

1109년(예종 4)에 행영병마판관(行營兵馬判官)으로 여진 정벌에 나섰다. 여진이 웅주(雄州)를 포위 공격하자 이를 물리쳤다. 이후 또다시 여진이 길주(吉州)를 위험에 빠트리자, 허재(許載) 등과 함께 구원병으로 성에 들어가 몇 달 동안 공격을 막아내었다. 당시 그는 성이 무너져 함락되려는 것을 직접 전투에 참여하여 구원하고 겹성을 쌓아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결국 여진은 화친을 요청하였다.

그 후 김의원은 형부원외랑(刑部員外郞), 호부낭중(戶部郞中)을 거쳤다. 1113년(예종 8) 요(遼)에 사신으로 가서, 태후의 주5에 사신을 보내준 것에 사례하였다. 인종이 즉위한 이후 주6 등을 거쳐 호부상서 동지추밀원사(戶部尙書 同知樞密院事)로 발탁되었다. 그런데 1126년(인종 4) 이자겸의 난이 일어나 궁궐은 불타고, 인종은 이자겸의 집인 중흥택(重興宅)에 연금되게 되었다. 이때 김의원은 대경(大卿)으로 중흥택집사(重興宅執事)가 되어 왕을 맞아들였다. 당시 그는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에 임명되었다.

김의원은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하고, 두 번째 부인이 이자겸의 사촌인 이자인(李資仁)의 딸이고, 첫 번째 부인도 인주이씨 가문 출신이다. 이로 인해 이자겸이 실각한 후에 탄핵을 받아 양주사(梁州使: 경상남도 김해시)로 나갔다. 1128년(인종 6) 안변도호부사(安邊都護府使)를 거쳐, 최종적으로 호부상서 겸 삼사사(戶部尙書 兼 三司使)를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김의원묘지명(金義元墓誌銘)」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최윤의 처 김씨 묘지명(崔允儀妻金氏墓誌銘)」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성종 1년(982)에 처음으로 두고 문종 때 정원 및 품계를 정하였으며, 충렬왕 1년(1275)에 첨의중찬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 헌종 1년(1095)에 추밀원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국자감에서 진사를 뽑던 시험. 시험 과목은 부(賦)와 시(詩)이며, 최종 고시인 예부시(禮部試)를 보조하는 예비 고시로 조선 시대의 소과(小科)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4

과거를 거치지 아니하고 조상의 공덕에 의하여 맡은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5

초우(初虞), 재우(再虞), 삼우(三虞)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고려 시대 무반 인사나 군사 업무 등을 담당한 병부(兵部)의 정4품 벼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