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화경 ()

목차
관련 정보
남화경
남화경
도교
문헌
중국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도가사상가인 장주가 지었다고 전하는 도가서.
목차
정의
중국 전국시대의 대표적인 도가사상가인 장주가 지었다고 전하는 도가서.
내용

≪남화진경 南華眞經≫ 또는 ≪장자남화경 莊子南華經≫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름은 ≪장자≫였으나 당나라 현종(玄宗)이 천보(天寶) 원년(742)에 존경하고 숭상한다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 때 장주에게도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는 존호(尊號)가 붙여졌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경사편(經史篇) 도장류(道藏類)에 따르면 ‘남화’라는 명칭은 장자가 살던 마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여러 가지 판본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곽상주(郭象注) 33권이 정통본으로 인정되고 있다. 최근에 둔황(敦煌)에서 발견된 당나라 필사본과 북송 여혜경(呂惠卿)의 여관문진장자의본(呂觀文進莊子義本), 일본 경도(京都)의 다카야마사(高山寺)에서 발견된 필사본이 있으나 모두 완전하지 못하다.

내용은 내편(內篇) 7권, 외편(外篇) 15권, 잡편(雜篇) 11권으로 나누어졌는데, 내편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장자사상의 정수가 포함되어 있다고 평가된다. 장자의 사상은 세속적인 관습과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자유로운 인간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노자의 입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노장사상(老莊思想)으로 통칭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읽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문헌에는 고려시대의 <한림별곡>에 나타나 있다. <한림별곡>에는 지식인들이 읽어야 할 책을 열거하고 있는데, 노자의 ≪도덕경≫과 더불어 ≪남화경≫이 들어 있다.

또한, 충렬왕 때의 문신인 추적(秋適)이 편간한 ≪명심보감 明心寶鑑≫에는 부분적으로 내용이 소개되고 있다. 성리학 자체가 도가의 논법을 포함하고 있었고, 이황(李滉)이나 이이(李珥) 같은 훌륭한 유학자들도 도가서에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에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거의 다 도가서를 읽었는데, 특히 ≪남화경≫은 그 유려한 문체 때문에 널리 애독되었다.

더욱이 일부 유학자들은 유교와 도가의 이론이 서로 배치되지 않을 뿐더러 핵심 내용은 공통점이 많다는 방향으로 도가서의 가치를 옹호하기도 하였다. 임희일(林希逸)의 ≪구해남화경 句解南華經≫은 장자의 입장이 유가경전의 뜻과 매우 부합됨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주해서이다.

박세당(朴世堂)은 현재 전해지는 임희일 구해본에 현토(懸吐)와 해석을 해놓은 사람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유가사상의 입장에서 도가사상을 받아들이는 기본 관점을 가지고 나름대로의 주해서를 펴냈다. 한원진(韓元震)도 유교 제일주의를 내세우고 도가사상을 비판하기도 하였지만 ≪장자변해 莊子辨解≫라는 제목으로 내편 6편의 해설을 쓰는 등 도가서를 깊이 연구하였다.

한편, ≪삼국사기≫에 나오는 백결선생(百結先生)의 “죽고 사는 데에는 명이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렸다. 그것들이 닥쳐 오면 막아서는 안 되고, 그것들이 떠나 가면 쫓아가서는 안 된다…….”라는 구절은 바로 외편 삼목편(三木篇)에 나오는 구절인 “내자물금 왕자물지(來者勿禁 往者勿止)”의 생활철학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능화(李能和)는 외편 재유편(在宥篇)에 나오는, 황제(黃帝)가 공동산(空同山)으로 광성자(廣成子)를 찾아가서 장생(長生)의 도를 묻고 교시를 받았다는 부분에 착안하여 광성자의 거처인 공동산이 우리 나라인 청구(靑丘:중국에서 우리 나라를 일컫던 말)임을 밝히기 위하여 여러 가지 고증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조선도교사』(이능화 저, 이종은 역, 보성문화사, 1977)
『한국의 도교사상』(차주환, 동화출판공사, 1984)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