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군비단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19년 11월 중국 장백현(長白縣)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투쟁 단체.
이칭
약칭
군비단
단체
설립 시기
1919년 11월
설립자
이희삼, 이태걸, 이동백, 윤덕보, 김찬, 정삼성 외
설립지
중국 장백현
상위 단체
대한민국임시정부
내용 요약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은 1919년 11월 중국 장백현(長白縣)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투쟁 단체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의 연계 아래 출범하여 군사 활동, 군자금 모집, 대원 모집 활동, 교육기관 설립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21년 군사부를 연해주 이만[지금의 러시아 달네레첸스크]으로 이동시켰으며, 이후 간도에 남은 본부는 광정단(匡正團)으로 재편되었다.

목차
정의
1919년 11월 중국 장백현(長白縣)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투쟁 단체.
변천 및 현황

3 · 1운동 이후 중국 장백현에서 조직되어 활동하던 독립군 부대가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의 연계 아래 1919년 11월 1일[음력 9월 9일] 대한독립군비단[약칭 군비단]으로 정식 출범하였다. 조직 당시 단장은 이희삼(李熙三)이고, 부단장은 이태걸(李泰杰)이었다.

설립 당시 약 300명 정도의 인원을 보유하였으며 중앙에 총무부 · 이사부 · 군사부 · 경호부 · 문화부 · 서무부 · 교통부 · 외무부를, 함경도 각 지방과 간도 일대에는 지단(支團)을 두었다. 주요 임원은 이동백(李東百), 윤덕보(尹德甫), 김찬(金燦), 정삼성(鄭三星) 등이었다. 입단금, 의무금, 주1, 주2 등의 재정으로 운영되었다.

군비단은 무장 활동과 함께 설립 초기부터 군자금 및 대원 모집 활동을 병행하였고, 통신국을 설치해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의 연락을 이어나갔다. 또한, 국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만주 지역 통신국 역할을 하고, 함경도에 형성된 인적망을 조직 활동에 활용하였다.

1920년 8월에는 김택률(金澤律)이 함경도에 파견되어 김정익(金鼎益) 등과 함께 군자금을 모금하다 체포되었다. 12월에는 주덕기(朱悳基)와 방을남(方乙南) 등이 간도 및 국내와 연계를 통해 군자금 모집과 독립운동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총단(總團) 부근에 하사를 양성하는 중학강습소, 지방에는 예비군을 양성하는 소학교를 설립해 자체 군사학교를 통해 예비 단원을 육성하였다. 이러한 교육기관은 독립군의 피난처가 되기도 하였다.

활동

일본군의 간도 출병으로 만주에서 무장 투쟁이 어려워지자 군비단은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의 부대 통합 계획을 듣고, 1920년 11월 15일 제2차 대회를 개최해 연해주 지역으로 군사본부를 이전할 것을 결정하였다.

1921년 3월 1일 윤동선(尹東鮮)을 소대장으로 하는 부대가 1차로 연해주로 출발한 후, 9차에 걸쳐 군비단 군사부 대원들은 연해주 이만으로 떠났다. 당시는 연해주와 간도에서 모여든 한인 무장 부대들이 이만을 거쳐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지금의 러시아 스보보드니]로 옮겨갔던 시기였다.

군비단 군사부 역시 연해주 이만에서 전열을 정비한 다음 자유시로 옮겨갈 계획이었다. 그러나 계획이 수정되어 군비단은 이만에 남아 소비에트 주3과 연결하여 주4 및 일본군과 싸우기로 결정하였다.

군비단 군사부는 부대를 이만 부근 한인마을에 나누어 주둔시키고, 1921년 7월 13일 3차 회의를 열어 주5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후 대한의용군(大韓義勇軍)으로 개편되어 그해 12월 이후 이만 전투와 연해주 해방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한편, 간도에 남은 군비단 본부는 1921년 6월 1일 장백현 16도구(道溝) 신창동(新昌洞)에서 광복단(光復團), 흥업단(興業團)의 대표들과 연합회를 개최하고 광정단으로 통합하였다. 1923년 초 본부를 장백현에서 무송현(撫松縣)으로 이전하여 무장 투쟁을 계속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자료집 5-3.1운동사 재판 기록』(독립유공자 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3)
채근식, 『무장독립운동비사(武裝獨立運動祕史)』(대한민국 공보처, 1949)

논문

윤상원, 「1920년대 전반기 김홍일의 항일무장투쟁」(『한국독립운동사연구』 4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김주용,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사학연구』 92, 한국사학회, 2008)
주석
주1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내는 돈.    우리말샘

주2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모은 돈.    우리말샘

주3

소비에트 정권의 군대

주4

소비에트 정권에 대항한 반정부 세력

주5

1921년 러시아 연해주 이만으로 이동한 군비단을 개편한 재러 한인 무장 독립군 부대.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