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흥학회 ()

근대사
단체
1909년 1월 일본에서 설립된 유학생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09년 1월
해체 시기
1910년 8월
설립지
일본
소재지
일본
발간지
대한흥학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흥학회는 1909년 1월 일본에서 설립된 유학생 단체이다. 1905년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는 한국 유학생 수가 급증하면서 태극학회(太極學會), 공수학회(共修學會), 낙동친목회(洛東親睦會), 유학생구락부(留學生俱樂部), 호남학회(湖南學會), 광무학회(光武學會) 등 다수의 유학생 단체가 설립되었다. 이들 단체 중 일부가 통합하여 1908년에 대한학회(大韓學會), 다시 1909년 1월에 대한학회, 태극학회, 공수학회가 통합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정의
1909년 1월 일본에서 설립된 유학생 단체.
설립 목적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려는 유학생 수가 급증하면서 다수의 유학생 단체가 설립되었다. 유학생들은 친목 도모와 학술 교류를 목적으로 한 단체를 결성하기 시작하였다. 정부에서 파견한 관비 유학생과 사비 유학생이 각기 단체를 설립하거나 혹은 같은 지역 출신끼리 단체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1905년 태극학회를 시작으로 1906년 공수학회, 낙동친목회, 유학생구락부, 한금청년회(漢錦靑年會), 동인학회(同寅學會), 호남학회, 광무학회 등이 조직되었다. 유학생 단체는 일본에서 수학하여 얻은 지식과 정보를 유학생 간에 공유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내에도 전파하여 국민을 계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유학생 단체마다 학회지를 발행하였다. 하지만 여러 유학생 단체가 설립되어 힘을 하나로 모으지 못하고 분열하자 단체를 통합하자는 의견이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908년 2월, 태극학회와 공수학회를 제외한 유학생 단체들이 통합하여 대한학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다시 유학생 단체 통합 문제가 제기되면서 1909년 1월 10일, 대한유학생감독부(大韓留學生監督部)에 모인 대한학회, 태극학회, 공수학회 회원과 유학생들이 연합회를 열고 임시 임원진을 선발하고 단체의 규칙을 심의하였다. 통과된 규칙에 따라 회장, 총무, 평의원 등을 선거하고 기타 임원을 선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통합된 유학생 단체인 대한흥학회가 조직되었다.

변천 및 현황

대한흥학회는 ‘돈의연학(敦誼硏學)’과 ‘국민의 지덕계발(智德啓發)’을 설립 목적으로 내세우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학생들 간의 애경사(哀慶事)를 함께 하여 우의를 돈독히 하며, 학업을 서로 권하여 유학생으로서 본래의 임무에 충실하도록 한다는 활동 지침을 규정하였다. 또한, 일본에서 얻은 학술을 확장하며 고국 동포의 지덕을 계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대한흥학회의 조직은 회장 1인, 부회장 1인, 총무원 2인, 평의원 25인, 총회 서기원 2인, 평의회 서기원 1인, 집행임원회 서기원 1인, 간사원 5인, 회계부원 5인, 편찬부원 10인, 출판부원 5인, 교육부원 5인, 토론부원 4인 등으로 이루어졌다.

제1차 임원진으로는 회장에 채기두(蔡基斗), 부회장에 최린(崔麟), 총무원에 김홍량(金鴻亮), 최창조(崔昌朝) 등이 선출되었다. 단체 성립 초기 회원 수는 약 560명이었다. 대한흥학회는 기관지와 도서의 저작 출판, 토론 · 연설 및 체육 장려, 환난상구(患難相救) 및 경사축하(慶事祝賀) 등을 학회 활동 사항으로 제시하였다.

학회 활동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기관지 발행이었다. 대한흥학회는 기관지인 『대한흥학보(大韓興學報)』를 1909년 3월 20일 창간하여 월간으로 발행하였다. 『대한흥학보』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판매되어 유학생들뿐 아니라 국내 국민들의 민지(民智) 계발과 지식 보급에도 기여하였다. 1910년 5월 제13호까지 발행된 후 폐간되었다.

대한흥학회는 이러한 활동 외에도 재해 구휼(救恤), 강습회 개설 등의 활동도 펼쳤다. 또한, 1909년 12월 일진회(一進會)가 합방상주문(合邦上奏文), 청원서 및 성명서를 발표하자 총대의원를 본국에 파견하여 일진회의 행위를 성토하고 비판하였다. 이후 일본 당국은 일본 유학생들과 대한흥학회를 감시하고 탄압하였고, 결국 1910년 8월 28일 해산되었다.

의의 및 평가

대한흥학회는 비록 해산되었으나, 통합 유학생 단체의 활동 경험은 1910년대 유학생 단체가 다시 재조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주, 『한말 재일한국유학생의 민족운동』(느티나무, 1993)

논문

김소영, 「한말 도일유학생들의 현실 인식과 근대국가론-共修學報와 洛東親睦會學報 분석을 중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 84,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안남일,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58,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6)
한성민, 「황실특파유학생들의 동맹퇴교운동에 대한 일본의 대응-구라치 데츠키치[倉知鐵吉]의 활동을 중심으로-」(『역사와현실』 93, 한국역사연구회, 2014)
이태훈, 「한말 일본유학생들의 자기인식과 계몽논리: 1900년대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한국사상사학』 25, 한국사상사학회, 2013)
정관, 「구한말 재일본 한국유학생단체운동」(『대구사학』 25, 대구사학회, 1984)

신문 · 잡지

『대한흥학보』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