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화관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영은문 주초 정면
서울 영은문 주초 정면
조선시대사
제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었던 객관(客館).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었던 객관(客館).
내용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신을 영접하던 곳이다. 1407년(태종 7)송도(松都)의 영빈관을 모방하여 서대문 밖에 건립하여 이름을 모화루(慕華樓)라 하였다. 모화루 앞에는 영은문(迎恩門)을 세우고 남쪽에 못을 파 연꽃을 심었다.

1429년(세종 11) 규모를 확장하여 개수하고 모화관이라 개칭하였다. 중국 사신이 올 때는 2품 이상인 원접사(遠接使)를 의주에 보내고, 선위사 또한 2품 이상인 자로 도중 5개처에 보내어 맞게 하고 연회를 베풀어 위로하였다.

서울에 도착하면 이 모화관에 드는데, 이 때 조선의 왕세자는 그의 앞에 나아가 재배의 예를 행하고 백관도 재배의 예를 행한다. 이 때 백관은 반을 나누어 사신이 도착하기 전에 관에 나아가 대기하였다.

또, 사신이 돌아갈 때는 백관이 품계의 정종(正從)의 위치를 달리하여 두 줄로 섰다가 일제히 재배례를 행하였다. 그 뒤 청일전쟁 이후 모화관은 폐지되고, 1896년서재필(徐載弼) 등이 독립협회를 세우고 그 모화관을 사무실로 쓰는 한편,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고 모화관을 독립관이라 하여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회관으로 사용하였다. →독립문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명사접대고(明使接對考)」(이현종, 『향토서울』12, 196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