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도보통지언해 ()

목차
관련 정보
무예도보통지언해
무예도보통지언해
언어·문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 · 박제가 등이 왕명에 따라 『무예도보통지』를 한글로 풀이한 무예서.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 · 박제가 등이 왕명에 따라 『무예도보통지』를 한글로 풀이한 무예서.
개설

목판본 1책. 임진왜란 후에 선조가 한교(韓嶠)에게 명하여 명나라의 곤봉, 육기(六技)를 배워 오게 하여 이를 도보(圖譜)로 만들어 1598년(선조 31)에 간행한 것이 『무예제보 武藝諸譜』이다.

그 후 1749년(영조 25)에 죽장창(竹長槍) 등 12기법을 더하여 18기(技)에 관한 『무예신보 武藝新譜』를 만들었다.

『무예도보통지』는 위의 두 책을 근본으로 하고 기예(騎藝) 등 6기를 더하여 24기로 하고 거기에 도보를 추가하여 증보, 수정, 편찬되었다.

한문본은 4책으로 되어 있다. 본래는 언해가 원본도보의 사이에 흩어져 있었으나 이를 다시 뽑아 한 권으로 따로 만들었다.

언해본은 본문 앞에 범례와 목록이 있고 ‘장창전총보(長槍前總譜)’, ‘장창전총도(長槍前總圖)’, ‘장창후총보’ 등 40개의 총보(總譜), 총도(總圖) 등이 있다.

내용

여러 동작을 하나 하나 순서대로 명칭한 것이 ‘총도’이다. 궁시(弓矢)나 총포(銃咆) 등의 용법은 제외되고 창(槍)·검(劍)·권(拳)에 한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18세기말 국어연구의 좋은 자료이며 동시에 무예사(武藝史)나 무복(武腹), 무기 등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문헌이다.

국어 표기법이나 음운현상의 특징을 몇 가지만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모음간 ○표기가 매우 많이 나타나며, ② 어두합용병서에는 모두 ○계(ㅺ, ㅽ, ㅾ, ㅼ, ㅆ 등)로서 표기되었고, ③ 어간말 말음 ㄷ은 거의 ○으로 나타나 모음어미가 연결되어도 역시 ○을 표기한 경우가 있다(굿이, 밧아).

④ 어간말음 ㅺ은 ㄲ으로도 표기되었으며, ⑤ 어간말 자음군 ㄼ, ㄺ은 어떤 환경에서도 유지되어 있다. ⑥ 분철표기가 강하게 나타나며, ⑦ 원순모음화는 완성단계인 듯하고, ⑧ ㄷ구개음화는 어두에도 나타나 있다(예 ; 직희여). 서울대학교(규장각, 일사문고)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40)
『朝鮮語學史』(小倉進平, 1920)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전광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