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양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좌승지, 이조참판, 사헌부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문재(文哉)
오서(梧西)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8년(헌종 4)
사망 연도
1891년(고종 28)
본관
반남(潘南)
정의
조선 후기에, 좌승지, 이조참판, 사헌부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문재(文哉). 호는 오서(梧西). 간성군수(杆城郡守) 박제갑(朴齊甲)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3년(고종 10)에 경과정시에 병과로 급제한 뒤 이듬해 홍문관부수찬을 지냈다.

1875년 8월 왕세자 이척(李坧: 순종)의 책봉을 위한 주청사(奏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정사 이유원(李裕元), 부사 김시연(金始淵)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성균관대사성·대사간·이조참의·좌승지·이조참판·사헌부대사헌을 역임하였다.

대사간 재임때인 1881년에는 개화정치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영남 유학 이만손(李晩孫)을 엄형에 처하라는 주장을 양사(兩司)가 함께 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직후 좌승지로 재임하면서 김옥균(金玉均) 등 정변의 주모자를 엄형에 처해야 한다는 원의(院議)를 고종에게 아뢰고 정변 직후 종묘(宗廟)·경모궁(景慕宮) 등을 봉심(奉審: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능이나 廟宇를 보살핌)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