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장 ()

목차
관련 정보
귀얄법
귀얄법
공예
개념
태토의 색이나 질감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에 백토 또는 색토를 발라 피막을 이루는 도자기 장식기법.
목차
정의
태토의 색이나 질감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에 백토 또는 색토를 발라 피막을 이루는 도자기 장식기법.
내용

우리 나라 도자기 중에서는 분청사기(粉靑沙器)에서 그 특색이 뚜렷하다. 이 때 사용되는 백토는 화장토(化粧土)라고도 불리며, 피복력이 좋고 건조시 기물에 잘 밀착해서 구워 만든 뒤에도 안정되게 부착되어야 하므로, 천연의 점토에 장석 · 석회석 등 융제를 첨가하여 소성 뒤에 알맞게 주1되도록 조정하여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이전의 화북지방의 도기(陶器) · 자기(磁器)에 흔히 사용되었고 화남지방에서는 후난성[湖南省] 장사요(長沙窯) 청자에 일부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의 일부 청자와 주2에서 분장기법이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 중 철채청자는 성형된 기물의 전면에 자토(赭土, 黑土) 또는 철분이 함유된 물질을 도장(塗裝)한 뒤 유약을 입혀 구워 만든 것이므로 분장기법의 최초의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분장은 조선조 분청사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여러 가지 분장기법이 크게 발전하였다.

분청사기는 그 장식기법에 따라 상감분청사기(象嵌粉靑沙器) · 주4분청사기(印花粉靑沙器) · 주5분청사기(剝地粉靑沙器) · 주6분청사기(彫花粉靑沙器) · 주7분청사기(鐵畫粉靑沙器) 등으로 분류된다.

또 단순히 백토를 분장함으로써 장식이 끝나는 경우가 있으며, 주3로 분장된 것은 귀얄문, 백토를 묽게 한 것에 그릇을 덤벙 담가 도장한 것은 분장문 또는 덤벙문이라 한다.

상감 · 인화 등의 분장법은 타작한 청자상감의 기법을 이어 조선초로부터 시작되어 세종 · 세조 연간에 그 특징이 두드러지며, 귀얄문 · 분장문(덤벙문)을 기본으로 하는 박지 · 조화 · 철화문은 세종 · 세조 연간으로부터 세련되기 시작하여 성종 · 중종 연간까지 그 특징이 두드러지고, 단순한 귀얄문과 분장문도 16세기 이후에야 대량생산된다.

단순한 귀얄문과 분장문이 급증하고 여기에 문양을 나타낸 것은 격감하였으며, 표면이 백자와 같이 됨에 따라 자연히 분장에 의한 백자화의 기법은 사라지고, 백자 일색이 되었는데, 이 시기는 대체로 16세기 후반부터이다.

인화문은 영남에서 더욱 발달하였으며 귀얄문 · 분장문을 기본으로 하는 박지문 · 조화문은 호남에서, 철화문은 충청도계룡산 지역에서 특히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전기의 도자와 분청사기」(정양모, 『한국의 미』-이조도자-, 중앙일보사, 1979)
『中國陶磁史』(佐藤雅彦, 平凡社, 1979)
주석
주1

가루나 또는 가루를 어떤 형상으로 압축한 것을 녹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가루가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여 고결(固結)함. 또는 그런 현상. 각종 요업 제품이나 세라믹의 제조에 응용된다. 우리말샘

주2

그릇 표면 전체에 철유를 바르고, 그 위에 청자 유약을 씌워 구운 청자. 광택이 있고 빛깔은 흑색, 초록을 띤 흑색이다. 우리말샘

주3

풀이나 옻을 칠할 때에 쓰는 솔의 하나. 주로 돼지털이나 말총을 넓적하게 묶어 만든다. 우리말샘

주4

도자기를 만들 때에, 도장 따위의 도구로 눌러 찍어 무늬를 만드는 기법. 또는 그 무늬. 우리말샘

주5

도자기의 문양 기법 가운데 하나. 그릇에 무늬를 그린 뒤, 배경의 백토(白土)를 긁어내고 유약을 발라서 무늬를 나타낸다. 분청사기에만 한정하여 사용되는 기법으로, 배경의 회색과 문양의 백색 대비가 이루어져 특별한 분청사기의 멋을 나타낸다. 이 기법은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우리말샘

주6

도자기에 꽃무늬를 새김. 또는 그런 기법. 우리말샘

주7

철분이 섞인 채색 물감으로 그린 무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