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개념
집의 건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내용 요약

성주는 집의 건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이다. 성조신(成造神)이라고도 한다. 집의 건물은 원칙적으로 성주의 보호를 받는다. 성주는 안채만이 아니고 사랑채나 변소, 헛간 등 건물을 지키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집에는 하나의 성주만이 있다. 성주는 받아들이지 않으면 오지 않기에, 집을 지을 때에 신을 맞아들이는 상량식을 한다. 성주는 집안에 사망 등의 부정한 일이나 화재 등의 위험한 일이 생기면 집을 나간다. 집을 나간 성주를 다시 모시기 위해 무당을 불러 성주굿을 하거나 안택경이라는 경문을 외우게 한다.

목차
정의
집의 건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내용

가신(家神)의 하나로 성(城)의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성주라 하는데 집을 주1한다고 하여 성조신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집의 건물만을 수호하는 기능이 있다. 집의 건물은 원칙적으로 성주의 보호를 받는다.

성주가 임하여 존재하고 있는 대들보가 있는 안채만이 아니고 사랑채나 변소 · 헛간 등에도 성주가 있어서 건물을 지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와가에 성주요, 초가에도 성주요, 가지막에도 성주’라는 말은 어떠한 형태의 집이든 건물이 있으면 성주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가정을 가지는 집뿐만 아니라 공공건물이나 독립가옥인 신당(神堂)에도 성주는 있다고 한다.

또, 배 안에도 성주가 있다고 하는데 이 배의 성주는 집안에 있는 성주의 연장 · 확대라 할 수 있다. 어부에게 있어서 배는 집과 같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성주를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집에는 하나의 성주만이 있고 복수의 성주는 없다. 예를 들어서 한 집안에 몇 가구가 세를 들어 사는 경우라 하여도 성주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성주만이 있고 다른 모든 사람은 하나의 성주의 보호권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 가족이 단독 주택을 가지는 경우에는 성주를 가질 수 있다. 분가하는 사람도 독립가옥을 가질 때 성주를 가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독립적으로 집을 가진 사람만이 성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남자 주인이 대주(大主)가 되어 성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성주신은 가신의 대표 신이고 대주는 가족의 대표이다. 이들 두 대표에 의하여 가운(家運)이 기본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그래서 대주를 성주라고도 부른다. 나이가 젊은 대주를 초년성주, 그리고 중년이 되면 중년성주, 늙은 다음에는 노년성주라 한다. 성주가 남신으로 신격화되어 있는 것처럼 대주도 남자가 된다. 그러나 남자가 없는 경우에는 여자라도 성주가 될 수 있어 남성이라는 성별에 배타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성주는 원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오지 않는 신이다. 그러므로 집을 지을 때에 신을 맞아들이는 의례나 굿을 하게 된다. 우선 주4 상량(上樑)할 때 상량식을 하는데, 대들보에 입주연월일과 ‘응천상지삼광(應天上之三光) 비인간지오복(備人間之五福)’이라는 글귀를 적고, 다시 양단에는 해(海)자나 용(龍)자 또는 구(龜)자를 적어놓고 백지를 붙인 다음 제물을 차려 고사를 지내고 상량한다.

이것은 집의 중심이 되는 상량에 성주를 받아들이는 간단한 의례이다. 삼광(三光)과 오복은 그 집안에 사는 사람들이 행복하게 되라는 축원이 담겨진 내용이고 해 · 용 · 구는 집이 화재를 당하지 않도록 방어하고자 하는 뜻에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앙은 풍수신앙이나 궁중신앙(宮中信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집에 따라서는 이러한 의식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날을 받아서 성주신을 맞아들이는 ‘성주받이굿’ 또는 ‘성주맞이굿’이라 하는 굿을 하기도 한다. 이 굿의 성주 거리에서 그 집 대주로 하여금 성주대[成造竿]를 잡게 하여 신을 내리게 한 다음 성주를 주2시켜 무녀가 백지를 술에 적셔 대들보에 붙이고 쌀을 뿌려 붙게 한다.

이 때 잡은 성주는 소나무 가지인데 이것은 집을 지은 나무의 상징이고, 바로 성주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렇게 받아들인 성주라 하여 영원히 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때로 부정한 일이 생기거나 위험한 일이 있으면 집을 나가버린다. 즉, 집안에 출산이나 사망 등의 부정한 일이 발생하였거나 화재 등의 위험한 일이 생겼을 때는 성주가 집을 나가버리기 때문에 다시 모시지 않으면 안 된다.

큰 부정한 일이 아니라도 일년 중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부정한 일이 있게 마련이기 때문에 매년 정초나 가을에는 성주신을 새로 모시는 안택(安宅)을 한다. 매년이 아니면 격년 또는 대주의 나이 7이 되는 해마다 성주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이 신이 집에 있어야 수호를 받는 것이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성주신을 모셔들이는 적극적인 의례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이다.

이 신이 나가는 것을 보면 이 신은 부정한 것을 싫어하고 위험한 일을 피하는 신임을 알 수 있다. 대들보는 주로 마루의 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교적 부정한 공간을 피하기 쉽다. 방에서는 먹고 자고 나고 죽기 때문에 부정한 공간이지만 마루는 신성한 공간이다.

성주를 모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주3을 불러 경문을 외우게 하는 안택경(安宅經)이고, 다른 하나는 무당을 불러 하는 성주굿이다. 어느 쪽이나 집안의 안전과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내용의 ‘황제풀이’ 또는 ‘성주풀이’라는 긴 서사무가(敍事巫歌)를 창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독이나 항아리 · 단지 안에 쌀을 담아서 ‘성주독’ · ‘성주단지’ · ‘성주항아리’라고 하여 집의 한 귀퉁이에 모시는 신앙이 있다. 현재 민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대부분 ‘성주독’이다. 성주독은 대개 대청마루 한 구석에 놓인다. 충청도 · 경상도 · 전라도 지방의 농어민가에서는 성주독을 많이 볼 수 있고, 양반 주택에서는 종이를 접어서 모신 성주 신체를 많이 볼 수가 있으나 꼭 일정하지는 않다.

성주신의 기원에 대해서는 성의 주인인 성주를 신으로 받들던 것, 집을 짓는 성조, 즉 목수의 신을 모시는 것, 하늘의 신 상주(上主)를 모시는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나, 어느 것이나 실증적인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이능화, 『계명』 19, 1927)
『성조신가(成造神歌)』(손진태, 조선신가유편, 1930)
「성주신앙속고」(김태곤, 『경희대학교후진사회문제연구논문집』 2, 1969)
「성주풀이」(이두현, 『기헌손낙범선생회갑기념논문집』, 1972)
「成造本歌」(秋葉隆·赤松智城, 『朝鮮巫俗の硏究』 上, 大阪屋號書店, 1937)
주석
주1

가정에서 모시는 신의 하나. 집의 건물을 수호하며, 가신(家神) 가운데 맨 윗자리를 차지한다. 우리말샘

주2

자리 잡아 앉음. 남을 높일 때나 점잖게 이를 때에 쓴다. 우리말샘

주3

남자 맹인 무당

주4

집을 지을 때에 기둥을 세우는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