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좌찬성,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문중(文仲)
경재(敬齋)
시호
문경(文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6년(성종 7)
사망 연도
1552년(명종 7)
본관
덕수(德水)
주요 관직
종사관|의주목사|공조참의|동지중추부사|평안도관찰사|한성부판윤|형조판서|좌찬성|우의정|영의정
정의
조선 전기에, 좌찬성,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이다. 자는 문중(文仲), 호는 경재(敬齋). 이명신(李明晨)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지온양군사(知溫陽郡事) 이추(李抽)이다. 아버지는 사간 이의무(李宜茂)이며, 어머니는 성희(成熺)의 딸이다. 좌의정 이행(李荇)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삼등과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장인인 군수 김진(金震)이 장리(贓吏: 부정하게 뇌물을 받거나 직권으로 재물을 탐한 죄를 저지른 관리)였기 때문에 좋은 벼슬을 얻지 못하고, 종사관·종성부사·경원부사·의주목사로 전전했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승진했지만, 삼사를 비롯한 철요의 직책이나 6경 등 서경(署經)을 필요로 하는 지위에는 나가지 못했다. 1522년(중종 17) 공조참의를 지내고, 이어서 함경도병마절도사·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1527년 한성부우윤이 되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경상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면서 민정과 국방에 이바지했다. 1533년 공조참판에 오르고, 이어서 예조참판·한성부판윤을 역임했다. 1539년 진하사(進賀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동안 지은 공로로 국왕이 병조판서에 임명하려 했으나, 이조판서 유관(柳灌)이 장리의 사위로서 서경을 받을 수 없다며 반대하였다. 이 때문에 유관은 나중에 보복을 당했다. 국왕의 신임과 이언적(李彦迪)의 주장으로 형조판서가 되고, 이어 병조판서로 발탁되었다.

1543년 의정부우찬성에 이어 좌찬성·우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인종이 즉위하여 대윤 일파가 득세하자, 윤임(尹任) 등이 부적합하다고 탄핵하여 판중추부사·병조판서로 강등했다.

이에 원한을 품고 있던 중 명종이 즉위해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수렴첨정을 하자, 윤원형(尹元衡)과 손잡고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이 때 윤임·유관 등을 제거하고, 추성위사협찬홍제보익공신(推誠衛社協贊弘濟保翼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547년(명종 2) 윤원형·윤인경(尹仁鏡) 등과 더불어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일명 정미사화(丁未士禍)]를 일으켜 지난날 윤원형을 탄핵한 바 있는 송인수(宋麟壽), 윤임 집안과 혼인 관계에 있던 이약수(李若水)를 사사(賜死)하고, 이언적(李彦迪)·정자(鄭磁)·노수신(盧守愼)·정황(鄭熿)·유희춘(柳希春)·백인걸(白仁傑)·김만상(金彎祥)·권응정(權應挺)·권응창(權應昌)·이천계(李天啓) 등 사림파 20여 명을 유배하였다.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가 되면서 병조판서를 겸하여 조정의 대권을 장악하였다. 풍성부원군(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좌의정이 되고, 1549년(명종 4) 영의정에 올랐다. 이기를 반대한 사림은 거의 모두 숙청되었다. 죽은 뒤 문경(文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이기가 받은 훈록은 선조 초년에 모두 삭탈되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조야집요(朝野輯要)』
『국조방목(國朝榜目)』
『용재집(容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