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본이름 외에 부르는 호칭.
내용 요약

자(字)는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본이름 외에 부르는 호칭이다. 『예기』에 의하면 “남자는 20세에 성년이 되어 관례를 마치고 성인이 되면 자가 붙는다. 여자는 15세로 결혼하게 되어 비녀를 꽂으면 또한 자가 붙는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자는 형제 간의 차례를 나타내거나 같은 글자를 넣어 짓는 경우가 많았고, 여자는 거의 자를 갖지 않았다. 자나 호를 가지게 된 이유는 두 가지 이상의 이름 가지기를 좋아한 풍속이나, 실제의 이름 부르기를 꺼린 풍속이 있었던 까닭이다. 이러한 습속으로 하여 옛날에는 손윗사람의 실명을 부르면 본데없는 짓으로 알았다.

목차
정의
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 본이름 외에 부르는 호칭.
내용

실제의 이름(實名, 本名)이 아닌 부명(副名)이라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웬만큼 글자를 아는 사람이면 성명 외에 자와 호(號)를 가졌고, 또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은 생전에 임금이 내린 주1나 사후에 내린 시호(諡號)도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한 사람이 여러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옛날의 한 습속에 말미암은 것이다. 두 가지 이상의 이름 가지기를 좋아한 풍속인 ‘복명속(復名俗)’이나, 실제의 이름 부르기를 꺼린 풍속인 ‘실명경피속(實名敬避俗)’이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 있었던 까닭이다. 이러한 습속으로 하여 옛날에는 손윗사람의 실명을 부르면 본데없는 짓으로 알았다.

지금도 당자의 앞에서는 그 실명을 부르는 것을 피하고 있다. 말하는 측에서도 윗사람에 대해서는 자신의 실명을 말하지만, 같은 나이또래나 그 아래의 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에도 자를 사용하나 손아랫사람인 경우, 특히 어버이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에는 실명을 사용하였다. 손아랫사람인 경우 이름을 부르는 것은 오늘날도 마찬가지이다.

자는 물론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나, 어느 때부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주(周)나라 초기의 설을 들어 말한다. 주나라 초기 동기(銅器)에 ‘영이(令彛)’라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 한 사람의 이름이 두 가지로 나타나 있는 바, 그 중의 하나는 자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 습속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설총(薛聰)의 자가 ‘총지(聰智)’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만 하여도 자는 호만큼 보편화되지는 못하였던 것 같다. 원효(元曉)의 자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예기(禮記)』에 의하면 “남자는 20세에 성년이 되어 관례(冠禮)를 마치고 성인이 되면 자가 붙는다. 여자는 15세로 결혼하게 되어 비녀를 꽂으면 또한 자가 붙는다. 여자의 자에는 흔히 자매의 차례를 나타내는 백(伯) · 중(仲) · 숙(叔) · 계(季)를 붙인 데 지나지 않으나, 남자의 자에는 흔히 그 실명과 의미상의 관련이 있는 자가 붙고, 다시 그 위에 형제의 차례를 나타내는 백 · 중 · 숙 · 계의 글자나, 남자의 미칭인 자(子)를 붙이는 일이 많다. 또한, 흔히 형제간의 자에는 같은 한 글자를 넣어 지어서 그들이 같은 형제인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고 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여자의 경우 거의 따로 자를 갖지 않았고, 남자의 자에도 형제간의 차례를 나타내거나 같은 글자를 넣어 짓는 일이 흔하였던 것은 아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이나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자를 따로 찾아볼 수 없고(난설헌의 景樊은 주2) 형제간인 허성(許筬) · 허봉(許篈) · 허균(許筠)의 자가 각각 공언(功彦) · 미숙(美叔) · 단보(端甫)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서도 알 수 있다.

실명보다도 자를 많이 사용한 것이 옛날의 습속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옛사람들을 자보다도 그 벼슬이름이나 호로 부르고 있다.

세종은 묘호요, 그 이름은 도(祹)이다. 자는 원정(元正), 봉호는 충녕대군(忠寧君 忠寧大君), 시호는 장헌(莊憲), 능호는 영릉(英陵)이다. 이순신(李舜臣)의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그러나 오늘날 세종의 자나 이순신의 자를 말하거나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이덕무(李德懋)의 『앙엽기(盎葉記)』에는 성명 · 자에 대한 한 호사가의 이야기가 전한다. 당대 어떤 사람에게 들은 이야기라며, “중국 사람 중에 성이 성(姓)이고, 이름이 명(名)인데, 자 또한 자(字)라고 한 사람이 있다.”고 한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로도, 옛사람들은 이름 다음에 자를 생각하였던 것을 엿볼 수 있다. 옛 문헌에는 실명 아닌 자로써 사람을 지칭한 것도 많다. 따라서, 옛 문헌을 읽자면 실명과 더불어 그 사람의 자도 알고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앙엽기(盎葉記)』
『한국인명자호사전』(리두熙 외, 啓明文化社, 1988)
주석
주1

왕이 봉하여 내려 준 호(號). 우리말샘

주2

본명이나 자 이외에 쓰는 이름. 허물없이 쓰기 위하여 지은 이름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최승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