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태양방광경 ()

목차
의약학
개념
인체에서 방광 · 신장 · 뇌 · 심장 등과 관련이 있는 경맥. 족부삼양경.
목차
정의
인체에서 방광 · 신장 · 뇌 · 심장 등과 관련이 있는 경맥. 족부삼양경.
내용

눈구석[目內皆]에서 시작하여 상행하여 백회(百會:頭頂部에 있는 경혈)에서 교회하고, 그 가지는 귀 윗부분에 이르며 그 줄기는 백회에서 뇌를 돌아나와 척주를 타고 내려가 허리 부분에 이르러 신장에 연락되고 방광에 속한다.

한편, 다른 하나의 가지는 견갑골 안쪽으로 뻗어 척주를 따라 내려가 다리의 오금에서 합류하고, 다시 하행하여 장딴지 외측을 타고 내려가 새끼발가락 외측 끝에서 멈춘다.

이 경맥은 방광 및 신장·뇌·심장 등과 관련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 중에서 정명(睛明)은 눈구석과 비근(鼻根)의 중간 함요부(陷凹部)에 있는 경혈로 안질환·야맹증·색맹·각막염·시신경염 등에 이용된다.

풍문(風門)은 제2흉추 극상돌기 하방에서 양쪽으로 1촌 반 되는 부위에 있는 경혈로 감기·해수·기관지염·백일해·두통 및 목 뒤쪽이 뻣뻣하고 아픈 증상에 이용된다.

배수혈(背兪穴)은 배부(背部) 척추에서 양쪽으로 1촌 반 되는 부위의 방광경 상에 있으면서 장부의 생리 및 병리적 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혈로 폐수(肺兪)·심수(心兪)·간수(肝兪)·담수(膽兪)·비수(脾兪)·소장수(小腸兪)·방광수(膀胱兪) 등을 말하는데, 각각 소속된 장기의 질환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또, 네 쌍의 천골공(薦骨孔)은 좌우로 한 쌍씩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상료(上髎)·차료(次髎)·중료(中髎)·하료(下髎)라 부르는데, 이를 통틀어 8요혈(八髎穴)이라고도 하며, 모두 요통·월경통·월경불순·하복통·대하·소변불리·유정(遺精) 등에 효과가 있다.

위중(委中)은 다리의 오금 부위에 있는 횡문(橫紋)의 중앙에 있는 경혈로 요배통(腰背痛)·좌골신경통·유정 등에 효과가 있다.

승산(承山)은 장딴지에 있는 비장근(腓腸筋)이 갈라지는 부위에 있는 경혈로 요통·치질·곽란·각기·좌골신경통·변비 등에 이용된다. 곤륜(崑崙)은 외측 복사뼈와 아킬레스건(腱) 가운데에 있는 경혈로 좌골신경통·하지관절염·견배통·두통·고혈압 등에 사용된다.

신맥(申脈)은 외측 복사뼈 바로 아래 5푼 되는 함요부의 경혈로 요각통(腰脚痛)·반신불수·무릎굴신곤란 등에 이용되며, 지음(至陰)은 새끼발가락 발톱뿌리 외측으로 1푼 되는 부위에 있는 경혈로 난산(難産)·두항통(頭項痛)·전근(轉筋)·하지관절염 등에 이용된다.

참고문헌

『황제내경(黃帝內經)』
『영추해석(靈樞解釋)』(홍원식, 고문사, 1973)
『최신침구학』(김현제 외, 성보사, 1979)
『원색침구혈위해부도보』(최용태·김창환, 대성문화사, 1985)
집필자
맹웅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