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지

목차
관련 정보
무 짠지
무 짠지
식생활
물품
무를 소금으로 짜게 절여 만든 김치.
목차
정의
무를 소금으로 짜게 절여 만든 김치.
내용

고려 후기의 문장가 이규보(李奎報)의 시에 겨울을 위하여 무를 소금에 절여 김치를 담갔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짠지는 우리가 먹는 김치류의 가장 원초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역사가 김치류 중에서 가장 길다고 할 수 있다.

짠지 담그는 법은 위·아래의 굵기가 비슷한 무를 씻은 다음 독에 담되 켜켜로 소금을 많이 뿌리고, 또 붉은 고추를 어슷하게 썰고 파·마늘을 굵직하게 썰어 섞어서 매 켜에 뿌리고, 다 넣은 뒤 맨 위에도 소금과 양념을 뿌리고 큰 돌로 눌러놓는다.

다 전 뒤에 뚜껑을 열어 보아 물이 있으면 그만두고, 물이 적으면 소금물을 더 붓고 우거지를 덮은 뒤 봉하여 두었다가 봄부터 먹기 시작한다. 무를 씻지 않고 담가도 좋고, 소금에 절인 자반생선의 비늘과 머리 등을 모았다가 끓여 넣으면 젓국지 같아 맛이 좋고, 고추꼭지와 씨를 모았다가 넣어도 좋다.

늦봄부터 초여름에 꺼내어 얄팍얄팍하게 썰어 식초를 탄 물에 띄우고 다진 파와 고춧가루를 넣어 냉국을 만들면 산뜻한 맛을 낸다. 짠지독은 땅에 묻어두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영창서관, 1943)
『한국식품사연구』(윤서석, 신광출판사,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서혜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