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쥐팥쥐전 (콩쥐팥쥐)

콩쥐팥쥐전
콩쥐팥쥐전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국문본. 목판본이나 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활자본으로 대창서원본(大昌書院本, 1919) · 태화서관본(太華書館本, 1928) 등이 전하고 있다.

내용

조선 중엽 전라도 전주 부근에 사는 퇴리(退吏) 최만춘은 아내 조씨와 혼인한 지 10년 만에 콩쥐라는 딸을 두었다. 그러나 콩쥐가 태어난 지 100일 만에 조씨가 세상을 떠나자, 최만춘은 과부 배씨를 후처로 맞아들였다. 계모는 자기의 소생인 팥쥐만을 감싸고 전처소생인 콩쥐를 몹시 학대하였다.

산비탈의 돌밭매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베 짜고 곡식 찧기 등의 어려운 일은 모두 콩쥐에게 시켰으나, 그 때마다 검은 소와 두꺼비, 주1선녀, 새떼 등이 나타나 콩쥐를 도와주었다. 뿐만 아니라 직녀선녀가 준 신발 덕분에 감사(監司)와 혼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콩쥐는 팥쥐의 흉계에 넘어가 연못에 빠져 죽게 되고, 팥쥐가 콩쥐 행세를 하였다.

그 뒤 연꽃으로 피어난 콩쥐가 계속 팥쥐를 괴롭히다가 마침내 감사 앞에 나타나 자초지종을 고하였다. 감사가 연못의 물을 퍼내 콩쥐의 시신을 건져내니 콩쥐는 도로 살아났다. 감사는 팥쥐를 처단하여 배씨에게 보냈고, 이를 받아본 계모는 놀라서 즉사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신데렐라형 설화(AT Type No. 510)를 소재로 하여 소설화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콩쥐팥쥐전」은 그 가운데서도 중국 민간의 ‘신데렐라형 이야기’와 같은 계통인 한국 전래의 「콩쥐팥쥐설화」를 전폭 수용한 작품이다. 소가 나타나서 사건전개의 단서가 되는 점이나 결말에 가서 팥쥐와 계모에 대하여 철저한 응징을 가하는 점 등에서 알 수 있다.

이 작품이 설화를 소재로 하였으면서도 설화와 구별되는 것은 신데렐라계 설화의 대부분이 남녀주인공의 혼인으로 끝나는 데 비하여, 소설에서는 혼인 이후의 사건을 더 흥미있고 다채롭게 묘사하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악한 인간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형상화하여 권선징악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단순한 설화에 윤리적인 주제를 부여하고 소설적으로 재창조하였다는 점에 이 작품의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구활자본고소설전집』16(인천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3)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1)
「콩쥐팥쥐와 신데렐라」(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3)
주석
주1

천을 짜는 여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운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