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이 툇간까지 연장된 경우는 제외한다. 툇간은 고주(高柱)와 평주(平柱) 사이를 지칭하는데, 건축물의 전면에 많고 규모가 큰 건물에서는 측면이나 후면에도 생긴다. 살림집에서는 전면에만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툇마루가 형성되는 것은 겹집의 가구(架構)를 5량(樑) 또는 그 이상으로 할 경우인데, 대청 앞에 툇마루를 문짝으로 구분하는 경우와 하방으로 문턱을 만드는 형식만 취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온돌방의 전면에는 대부분 툇마루가 구성된다. 방과 툇마루 사이에 있는 벽에는 출입구 또는 창을 내는데, 단칸방으로 독립된 경우에는 문을 내고, 온돌방 옆에 대청이 있을 경우에는 머름을 설치한 위에 두 짝의 창을 낸다.
따라서 툇마루는 통로 구실도 하고, 간단한 가사(家事)도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짜임은 대청과 마찬가지로 우물마루로 하고, 마루의 끝은 외부와 통하게 한다. 마루가 높아서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고, 특수하게 머름을 설치하고 창을 다는 경우도 있다. 집으로 들어가는 첫 단계로서, 토방에 놓인 섬돌을 딛고 올라서면 툇마루가 된다.
툇마루가 생기기 이전에는 이 부분을 그냥 흙바닥으로 하였고, 평상 짜듯이 만든 들마루를 놓아 필요하면 마당에 내어놓기도 하였다. 즉, 이동식 마루인 셈인데, 여름에는 주로 마당에서 쓰고, 눈·비가 오거나 겨울에는 툇간에 놓고 썼다. 이것이 발전하여 툇마루가 되었지만, 아직도 들마루를 쓰고 있는 집이 상당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