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연의 ()

홍범연의
홍범연의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휘일과 이현일 형제가 『서경』의 「홍범」편을 해석하여 1688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휘일과 이현일 형제가 『서경』의 「홍범」편을 해석하여 1688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개설

홍범이란 대법(大法)의 다른 말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큰 원리를 뜻한다. 홍범편은 다시 그 강목을 아홉 부분으로 나누기에 홍범구주(洪範九疇)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경』에 의하면 하(夏)나라 우왕(禹王)이 하늘로부터 받아 은(殷)나라의 기자(箕子)에게 주고, 다시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에게 전한 것이라고 한다.

편찬/발간 경위

이휘일이 편찬·간행에 착수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중도에 세상을 떠나자, 동생 이현일이 그 뜻을 받들어 1688년(숙종 14)에 완성하였다. 책머리에 이현일의 서문과 후지(後識)가 있다.

서지적 사항

28권 13책. 목판본.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체재는 먼저 홍범편의 본문을 내세우고, 줄을 바꾸고 한 자를 낮추어 송나라 채침(蔡沈)의 전주(傳注)를 옮기고, 그 다음 역대 중국의 전적에서 관계 자료를 수집하여 상세히 해설하였다. 내용은 「홍범구주」의 순서에 따라 권1은 ‘오행(五行)’이라는 표제 아래 수·화·목·금·토를 차례로 나누어 해설하고, 권2는 ‘오사(五事)’라는 표제 아래 모(貌)·언(言)·시(視)·청(聽)·사(思)로 나누어 해설하고, 권3∼21은 ‘팔정(八政)’이라는 표제 아래 식(食)·화(貨)·사(祀)·사공(司空)·사도(司徒)·사구(司寇)·빈(賓)·사(師)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권22는 ‘오기(五紀)’라는 표제 아래 세(歲)·월(月)·일(日)·성진(星辰)·역수(曆數)로 나누어 해설하고, 권23·24는 ‘황극(皇極)’이라는 표제 아래 통치자의 대중지정(大中至正)한 표준을 밝히고 있다. 권25는 ‘삼덕(三德)’이라는 표제 아래 정직·강극(剛克)·유극(柔克)을 나누어 해설하고, 권26은 ‘계의(稽疑)’라는 표제 아래 우(雨)·제(霽)·몽(蒙)·역(驛)·극(克)·정(貞)·회(悔)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권27은 ‘서징(庶徵)’이라는 표제 아래 우(雨)·양(暘)·욱(燠)·한(寒)·풍(風)·시(時)로 나누어 해설하고, 권28은 오복(五福)과 육극(六極)에 관한 것으로,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과 흉단절(凶短折)·질(疾)·우(憂)·빈(貧)·악(惡)·약(弱) 등으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이 책은 임진왜란 이후 통치 질서의 재확립을 위하여 제작된 자료이다.

참고문헌

『서경(書經)』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용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