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세기 ()

삼국사기(권4) / 화랑세기
삼국사기(권4) / 화랑세기
고대사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김대문이 화랑들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 화랑전기.
이칭
이칭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記)
내용 요약

화랑세기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김대문이 화랑들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이다. 김대문은 진골귀족으로 성덕왕 때 한산주 도독이 되어 이 책을 지었다고 한다. 이 책은 『고승전』 과 함께 김대문의 중요한 저술로 꼽히나 『삼국사기』에 한 구절이 인용되어 있을 뿐 현존하지 않는다. 이 책의 화랑은 그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던 진흥왕대부터 통일을 완성한 문무왕대까지로 화랑제도의 본래 모습을 가장 잘 전해 주는 기록으로 보고 있다. 1989년에 필사본이 발견된 후 박창화에 의한 위작설이 제기되는 등 진위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학자 김대문이 화랑들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 화랑전기.
내용

『화랑세기(花郞世紀)』는 진골귀족(眞骨貴族) 출신으로 704년(성덕왕 3) 한산주(漢山州) 도독(都督)이 된 김대문(金大問)『고승전(高僧傳)』 · 『악본(樂本)』 · 『한산기(漢山記)』 · 『계림잡전(鷄林雜傳)』과 함께 저술하였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 “현명한 재상과 충성스런 신하가 여기서 솟아나오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졸이 이로 말미암아 생겨났다”는 『화랑세기』의 한 구절이 인용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삼국사기』가 찬술되었던 고려 때까지는 남아 있었던 것이 틀림없다.

이 화랑들의 전기는 『고승전』과 함께 김대문의 가장 중요한 저술로 꼽힌다. 이와 같은 화랑의 전기를 『삼국사기』 김흠운전(金歆運傳)의 사론(史論)에서는 ‘김대문의 세기’라 하였고, 최치원(崔致遠)『난랑비서(鸞郎碑序)』에서는 ‘선사(仙史)’라 하였으며, 각훈(覺訓)『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서는 ‘세기(世記)’라고 하였다.

다만, 김대문은 8세기 초 사람이므로 이 전기에 소개된 화랑은 신라의 화랑 전체가 아니라, 그들의 활약이 가장 두드러졌던 진흥왕(眞興王)대로부터 통일을 완성한 문무왕(文武王)대까지의 화랑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전기를 참고했을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대부분 삼국 및 통일기 초의 화랑들이 올라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따라서, 이 전기는 화랑제도의 성격이 크게 달라졌을 것으로 짐작되는 신라 말에 최치원이 쓴 ‘선사’라든지, 고려 후기 각훈이 쓴 ‘세기’와는 달리 화랑의 본래 모습을 가장 잘 전해준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1989년에 필사본 『화랑세기』가 발견되고, 다시 1995년에는 이른바 그 모본(母本)이 알려졌는데, 여기에는 32명의 주1의 계보와 그 구체적인 삶의 모습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그 진위 여부를 둘러싸고 박창화(朴昌和)에 의한 위작설(僞作說)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박창화에 의해 위작되었다고 보는 경우, 모본 필사본 『화랑세기』를 보다 더 진본(眞本)으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초록본(抄錄本)을 따로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박창화의 『화랑세기』외의 다른 저술들이 역사를 소재로 하면서 주요 모티프가 성관계라는 것이 필사본 『화랑세기』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필사본 『화랑세기』를 위작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필사본 『화랑세기』가 진본(眞本)이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수록된 향가인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의 주2 표기, 또 『화랑세기』에서의 ‘노(奴)’와 ‘비(卑)’의 용례가 조선시대의 천민 개념이 아닌 고대의 왕족을 제외한 모든 신분층을 일컫는 개념으로 쓰였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이후에도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진위 논쟁은 화랑의 계보, 색공(色供)의 역사적 접근, 인용 고사에 대한 분석, 향가 · 향찰에 대한 고찰 등 구체적인 내용의 실증 작업을 토대로 계속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최근 제기된『화랑세기(花郞世紀)』필사본 조작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희진, 『한국고대사탐구』5, 2010)
「『화랑세기』수록향가 조작설 비판」(김태식, 『역사비평』63, 2003)
「자료발굴-필사본 화랑세기 진위논쟁에 뛰어들며」(윤선태, 『역사비평』62, 2003)
「필사본 화랑세기 진위논쟁 10년」(권덕영, 『한국학보』99, 2000)
「『화랑세기』의 신빙성과 그 저술에 대한 고찰」(이종욱, 『한국사연구』97, 1997)
「삼국사기(三國史記)와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紀)」(이강래, 『화랑문화(花郞文化)의 신연구(新硏究)』,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5)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紀)의 사료적 가치(史料的 價値)」(노태돈, 『역사학보(歷史學報)』147, 1995)
「화랑세기 연구 서설(花郞世紀 硏究 序說)」(이종욱, 『역사학보(歷史學報)』146, 1995)
「필사본 화랑세기(筆寫本 花郞世紀)의 사료적 검토(史料的 檢討)」(권덕영, 『역사학보(歷史學報)』123, 1989)
「김대문(金大問)과 그의 사학(史學)」(이기백, 『한국사학(韓國史學)의 방향(方向)』, 일조각(一潮閣), 1978)
『新羅花郎の硏究』(三品彰英, 三省堂, 1943)
주석
주1

‘화랑’을 달리 이르는 말. 각 곳을 다니며 수련하므로 바람과 달의 주인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불렀다.    우리말샘

주2

신라 때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은 표기법. 특히 향가의 표기에 쓴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