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독 ()

고대사
제도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지방 광역(廣域) 행정구역인 주(州)의 장관.
이칭
이칭
총관
제도/관직
설치 시기
663년(문무왕 3)
폐지 시기
935년
소속
주(州)
내용 요약

도독(都督)은 남북국시대에 통일신라의 지방 광역(廣域) 행정구역인 주(州)의 장관이다. 문무왕 대부터 주의 장관을 도독이라고 불렀고 신문왕 대부터는 총관(摠管)이 병용되다가 785년(원성왕 1)부터는 오로지 도독이라고만 하였다. 주의 민정과 군정을 총괄한 것으로 여겨지며, 도독의 보좌관으로는 주조(州助)와 장사(長史)가 있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지방 광역(廣域) 행정구역인 주(州)의 장관.
형성 및 변천

『삼국사기』 직관지에서는 주의 장관이 군주(軍主)에서 661년(문무왕 1)에 총관(摠管)으로, 785년(원성왕 1)에 다시 도독(都督)으로 개칭되었다고 하였다. 신라본기에서 실제 용례를 살펴보면, 주의 장관 군주는 대체로 656년(태종무열왕 3)까지 나타나며, 총관이라는 관직은 당나라의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문무왕 대부터 사용되고 있다.

삼국통일 전쟁기에는 중앙의 대당(大幢)과 상주정, (북)한산정, 우수정, 하서정, 하주정 등 육정(六停) 군단이 행군(行軍) 조직의 중추를 이루었는데 이때 복수의 총관이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신문왕 대부터는 주의 장관으로 단수의 총관이 임명되는 사례들이 다시 나타난다. 한편 도독 칭호는 642년(선덕여왕 11)부터 나타나 경향성을 파악하기가 어렵지만, 원성왕 대 이후에는 주의 장관으로 도독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용례에 대한 해석은 논자에 따라 다르다. 총관은 주의 장관이 아니라 당(幢) · 정(停)의 사령관을 가리키는 칭호였고 태종무열왕 대에 주의 장관을 군주에서 도독으로 고쳤다는 견해가 있다. 또 태종무열왕 대에 주의 장관을 도독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고, 문무왕 대부터 698년(효소왕 7)까지 도독과 더불어 총관이라고 부르다가 성덕왕 대 이후에는 도독이라고만 불렀다는 견해 등이 제시되었다.

2004년 6월에 혜공왕 대에 제작된 사천 선진리비가 발견되었는데, 여기에 “신술 시 주총관 소간(神述時州總官蘇⼲)”이라는 구절이 있어 중대(中代)까지 총관이 주 장관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663년(문무왕 3) 무렵부터 주의 장관을 도독이라고 불렀고, 685년(신문왕 5)부터 총관 또는 도독이라고 부르다가 785년(원성왕 1)부터 오로지 도독이라고만 불렀을 것이라는 견해가 새롭게 제시되었다.

조직 및 기능

『삼국사기』 직관지에 도독은 관등이 주1에서 주2 사이인 사람을 임명한다고 되어 있다. 도독의 보좌관으로는 주조(州助)장사(長史) 각 1인이 있었다. 주조는 주3라고도 하였는데 관등이 나마(奈麻)에서 중아찬(重阿湌) 사이인 자를 임명하였다. 장사는 사마(司馬)라고도 하였으며 관등이 사지(舍知)에서 대나마(大奈麻) 사이인 자를 임명하였다.

주조는 대체로 민정, 장사는 군정을 보좌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도독은 군정과 민정을 총괄한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도독은 군정관으로서 주에 배치된 여러 군단을 관할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822년(헌덕왕 14), 김헌창의 난 때 주의 장관인 도독이 군사를 동원하여 반란에 참여하거나 그에 대응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단행본

주보돈,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신서원, 1998)

논문

전덕재, 「신라 중고기 말 · 중대 초 현제의 실시와 지방관에 대한 고찰」(『신라문화』 58,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21)
이문기, 「통일신라의 지방관제 연구」(『국사관논총』 20, 국사편찬위원회, 1990)
주석
주1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아홉째 등급. 육두품 이상이 오를 수 있었다.    우리말샘

주2

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 가운데 둘째 등급. 자색 관복을 입었다. 진골만이 오를 수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신라 때에 둔, 주(州)의 버금 벼슬. 우두머리인 도독의 다음으로 위계는 나마에서 중아찬까지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