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정 중에서 제일 먼저 설치한 군단은 대당(大幢)으로, 544년(진흥왕 5)에 편성하여 경주 부근에 배치하였으며, 옷깃〔衿〕의 색깔은 자백(紫白)이었다.
다음으로 552년에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지방에 배치했던 상주정(上州停)은 673년(문무왕 13)에 그 명칭을 귀당(貴幢)으로 고쳤고, 금의 색깔은 청적(靑赤)이었다.
지금의 경기도 광주 지방에 배치했던 신주정(新州停)은 568년에 남천정(南川停)으로 그 명칭을 고쳤다가, 604년(진평왕 26)에는 한산정(漢山停)으로 고쳤으며, 금의 색깔은 황청(黃靑)이었다.
그리고 지금의 강원도 춘천 지방에 배치하였던 비열홀정(比烈忽停)은 673년에 우수정(牛首停)으로 고쳐 부르고, 옷깃의 색깔은 녹백(綠白)으로 하였으며, 지금의 강릉지방에 배치하였던 실직정(悉直停)은 658년(태종무열왕 5)에 그 명칭을 하서정(河西停)으로 고치고, 옷깃의 색깔은 녹백으로 하였다.
또한,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지방에 배치하였던 하주정(下州停)은 685년(신문왕 5)에 완산정(完山停)으로 그 명칭을 고치고, 옷깃의 색깔은 백자(白紫)로 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에서는 진흥왕 때부터 영토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점령지에 주를 설치하고, 각 주의 치소(治所)에는 정(停)을 배치하였다. 이후 육정은 주의 이동과 함께 그 소재지도 옮겨졌다.
육정에는 각기 중앙의 진골신분자로서 장군 2∼4인이 파견되었고, 그 밑에 각급 장교들이 배치되었다. 대당은 왕경인(王京人)을 기본군사력으로 하고, 나머지 5개의 정은 지방민을 징발하여 편성한 주병(州兵)을 기본군사력으로 하였다. 삼국통일 후에는 9주에 따로 10정이 배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