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경신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2·8독립선언에 참여하였으며, 임시정부의 비밀요원으로 활동하였고, 대한애국부인회, 흥사단, 대한인국민회 등에서 군자금 모금 및 독립운동을 전개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92년(고종 29) 2월 4일
사망 연도
1978년 9월 28일
본관
연안
출생지
평북 선천군 가물남
관련 사건
2·8독립선언|평북선천지역 3·1운동
정의
일제강점기 때, 2·8독립선언에 참여하였으며, 임시정부의 비밀요원으로 활동하였고, 대한애국부인회, 흥사단, 대한인국민회 등에서 군자금 모금 및 독립운동을 전개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개설

1892년 2월 4일 평북 선천군 가물남(嘉物南)에서 태어났다. 국내에서 부인회, 간호대 및 청년단을 조직하고,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비밀요원으로 활약하였으며,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어학교 초대교장 및 대한애국부인단 총단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한 여성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다. 부친 차기원과 모친 박신원 사이에 여섯 딸 중 맏딸로 태어났다. 본관은 연안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가물남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를 전교했을 때 어머니는 처음으로 신자가 되었고 차경신은 모친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선천읍 장로교 학교인 보성여학교를 졸업하고, 강계 명신여학교 교사로 4년간 봉직하다가 서울 정신여학교 사범과 1년 과정을 졸업하였다. 졸업 후 함흥 영생학교와 원산 진성여학교 교사로 봉직하였다.

1918년 일본으로 유학하여 요코하마[橫濱]여자신학교에 재학하고 있던 중에 1919년 2월에 도쿄에서 한국유학생들이 주도한 2·8독립선언에 참여하였다. 김마리아와 함께 여학생 대표로 선발된 차경신은「독립선언서」10여 장을 베껴서 변장한 일본 옷띠인 오비 속에 숨기고 귀국길에 올랐다.

2월 15일 부산으로 입국하여 대구(大邱)로 간 차경신은 김순애(金淳愛)와 서병호(徐炳浩)를 만나 부인회 조직을 계획하고 평북 선천지역 3·1운동을 주도하였다. 그 후 김마리아와 함께 대한애국부인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송부하였다. 일경의 체포령이 있게 되자, 만주로 망명한 차경신은 1919년 11월 경에 대한청년단연합회(大韓靑年團聯合會)의 총무겸 재무로 피선되어 국내외를 다니면서 군자금을 모집하여 임시정부로 전달하는 등 임시정부를 지원하였다. 만주에서 경신참변(庚申慘變)이 일어나는 등 일본군의 탄압이 거세지자 1920년 8월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의 비밀요원으로 활약하였다.

1921년 1월에는 대한국민회 부인향촌회(婦人鄕村會)와 연계하여 군자금을 모금하였으며, 동년 9월 정애경·최윤덕 등과 여자연합단(女子聯合團)의 대표로 임시정부에 자금을 지원하였고, 10월 26일에는 평남 평양부 김상만(金相萬)이 모금한 4백여 원의 군자금을 임시정부에 전달하는 등 조국독립운동을 뒷받침하는 자금조달에 일익을 담당하다가 1921년에는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 상해 홍십자(紅十字)병원에 입원하기도 하였다.

1924년 1월 미국으로 건너간 차경신은 샌프란시스코 국어학교와 교회주일학교에서 교사를 지냈고 샌프란시스코 대한여자애국단 단장으로 활약하였다.

흥사단에 입단하였으며 대한인국민회 회원으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26년 로스앤젤레스에 한국어 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으로 교포 자녀들의 국어교육에 진력하였다.

1931년 로스앤젤레스 한국어 학교 교장직을 사면하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던 대한애국부인회 총본부가 로스앤젤레스로 옮기게 되자, 1933년부터 7년간 대한여자애국단 총단장으로 복무하며 각지에 지회를 확대 조직하였고, 임시정부, 독립신문사, 광복위로금,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군축선전비, 만주동포구제금 그 외에도 국내 수재의연금, 혹은 고아원 원조비 등 독립운동과 구제사업을 위해 힘썼다.

평생을 간절염과 신경통으로 고통받았으나 구호금을 모아 고국으로 보내는 구제활동을 하였다. 1978년 9월 28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상항한인국어학교시작교사는차경신여사가피임」(『新韓民報』, 1924.1.31)
「여자애국단에서차경신여사를환영三一선언후관전방면에서활동」(『新韓民報』, 1924.1.24)
「남녀학생3인이도미차경신여사와서정두청년」(『新韓民報』, 1924.1.17)
「愛國者의 압흔 生活」(『獨立新聞(상해판)』, 1921.1.27)
「大韓靑年團聯合會總會」(『獨立新聞(상해판)』, 1920.5.15)
「대한청년단연합취지서」(『獨立新聞(상해판)』, 1920.1.13)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호박꽃 나라사랑』(차경수, 기도교문사, 1988)
『대한여자애국단사』(김운하, 신한민보사, 1979)
『근역의 방향』(최은희, 을유문화사, 1961)
「식민지한국여성 차경신의 민족운동 연구」(윤정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21집, 2003)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の部, 在歐米(4)』(일본외교사료관 소장)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17), (18)』(일본외교사료관 소장)
집필자
이명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