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28자모는 훈민정음의 초성과 종성에 쓰이는 자음 문자 17개와 중성에 쓰이는 모음 문자 11개를 통틀어 이르는 글자이다. 훈민정음28자모의 제자 원리는 상형에 있다. 먼저 초성의 기본 문자인 ‘ㄱ, ㄴ, ㅁ, ㅅ, ㅇ’의 다섯 문자는 각 문자가 발음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고, 여기에 획을 더하거나 모양을 달리하여 12개의 문자가 만들어졌다. 중성의 기본 문자인 ‘아래아(ㆍ),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을 본뜬 것으로, 아래아(ㆍ)와 ㅡ, ㅣ를 위아래와 좌우로 한 번 또는 두 번 어울리게 하여 모음 문자 8개를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
1443년에 창제된 우리나라 문자인 “훈민정음(=한글)”에 포함된, 초성과 종성에 쓰이는 자음 문자 17개와 중성에 쓰이는 모음 문자 11개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자모(字母)는 조선 후기까지 성운학의 성모를 지칭하는 경우와 한글의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을 모두 일컫는 경우가 혼용되었는데, 현대의 일부 논의에서도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훈민정음』(해례본)의 「어제서문」에 쓰인 ‘신제이십팔자(新制二十八字)’와 『훈민정음언해』의 ‘새로 스믈여듧 字ᄅᆞᆯ ᄆᆡᆼᄀᆞ노니’의 ‘이십팔자(二十八字)’ 또는 ‘스믈여듧 자(字)’에 해당된다. 현대 국어의 ‘자모(字母)’는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갈라서 적는 낱낱의 문자를 가리키며,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 등이 포함된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조선 초기에는 중국어의 어음 체계를 연구하는 성운학자들이 대체로 한자음의 성모(聲母: 우리말의 초성에 해당하는 부분)를 자모(字母)라고 하였으며, 우리글에 대해서도 ‘훈민정음’의 초성 문자만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최세진의 『훈몽자회』(1527, 중종 22년)의 ‘범례’에 실린 「언문자모(諺文字母)」에 자음 글자와 모음 글자 27개를 나열하고 있는데, 자음과 모음을 한데 모아 두루 일컫는 용법으로 ‘자모(字母)’를 사용한 가장 이른 경우로 보인다.
『훈민정음』「예의」에는 처음 만들어진 문자인 ‘훈민정음’에 대한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자음 ‘ ㄱ, ㅋ, ㆁ’, ‘ ㄷ, ㅌ, ㄴ’, ‘ ㅂ, ㅍ, ㅁ’, ‘ ㅈ, ㅊ, ㅅ’, ‘ㆆ, ㅎ, ㅇ’, ‘ ㄹ’, ‘ㅿ’의 17개와 모음 ‘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의 11개가 실려 있다.
또한 「제자해」에는 ‘정음이십팔자(正音二十八字) 각상기형이제지(各象其形而制之)’, 즉 정음 스물여덟 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초성의 열일곱 자와 중성의 열한 자가 여기에 해당함을 밝히고 있다. 초성에 사용되는 자음 문자 17자와 중성에 사용되는 모음 문자 11자의 제자 원리가 바로 상형(象形)에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문자가 28개인 것이다.
초성의 기본 문자인 ‘ㄱ, ㄴ, ㅁ, ㅅ, ㅇ’의 다섯 문자는 각 문자가 발음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으로,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본뜬 것이고, 설음(舌音, 혓소리) ㄴ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 순음(脣音, 입술소리) ㅁ은 입의 모양, 치음(齒音, 잇소리) ㅅ은 이의 모양, 후음(喉音, 목구멍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따른 것이다.
나머지 9개의 글자는 기본 문자에 획을 한 번 또는 두 번 더하여 만들었으나, ㆁ은 그렇지 않고, 반설음(半舌音, 반혓소리) ㄹ과 반치음(半齒音, 반잇소리) ㅿ도 혀와 이의 모양을 본뜨지만, 획을 더하지 않고 모양을 달리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중성의 기본 문자인 ‘ㆍ,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을 본뜬 것으로, ‘ㆍ’는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뜬 것이고,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 ‘ㅣ’는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따른 것이다. ‘ㅗ’는 ‘ㆍ’와 ‘ㅡ’가 어울려서 이루어진 모양이며, ‘ㅏ’는 ‘ㅣ’와 ‘ㆍ’, ‘ㅜ’는 ‘ㅡ’와 ‘ㆍ’, ‘ㅓ’는 ‘ㆍ’와 ‘ㅣ’가 어울려서 이루어진 것이다. ‘ㅛ’는 ‘ㅗ’와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어 둥근 것을 둘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서 ‘훈민정음28자모’는 초성과 종성에 사용하기 위해 상형으로 만들어진 초성 문자 17자와 중성 문자 11자를 합한 28자를 통틀어 일컬을 때 사용된다. 그러므로 초성의 문자를 가로로 나란히 붙여 쓰는 병서(竝書)에 의한 각자 병서자인 ‘ㄲ, ㄸ, ㅃ, ㅆ, ㅉ, ㆅ’와 순음자(脣音字) 밑에 ‘ㅇ’을 이어 쓰는 연서(連書)에 의한 ‘ㅸ’ 등의 글자는 여기에서 포함되지 않는다.
병서와 연서는 상형에 의해 문자를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만들어진 문자를 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초성 문자와 종성 문자의 제자 원리를 개략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성 문자의 제자 단계는 먼저, 각 글자가 발음되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 자음 문자 5개를 만들고, 이어서 기본 자음 문자에 획을 더하여 자음 문자 9개를 만들거나 모양을 달리한 자음 문자 3개를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2) 중성 문자의 제자 단계는 먼저, 천(天) · 지(地) · 인(人) 삼재를 상형하여 기본 모음 문자 ‘ㆍ, ㅡ, ㅣ’를 만들며, ‘ㆍ’와 ‘ㅡ, ㅣ’를 위아래와 좌우로 한 번 또는 두 번 어울리게 하여 모음 문자 8개를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한편, ‘ㄲ, ㄸ, ㅃ, ㅉ, ㅆ, ㆅ’의 각자 병서 6개와 자음 글자 17개를 합한 자음 글자 23개를 보통 ‘훈민정음23자모(字母)’ 또는 ‘훈민정음23자모체계’라고 지칭하여, 『훈민정음』
「예의」와 「제자해」의 자음 글자 17개만을 가리켜 ‘훈민정음17초성’, ‘훈민정음17초성체계’라고 지칭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명확히 구분해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