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약목 고분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있는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 구덩식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이칭
이칭
대옹총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에 있는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 구덩식 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역사적 변천

칠곡약목고분은 '대옹총'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분이 속한 약목고분군은 해발 366m의 수물산에서 동으로 뻗어 내린 소구릉에 돌방[石室] 및 돌덧널무덤[石槨墓] 20∼30여기, 동북으로 이어지는 구릉에 중대형의 봉토분이 40∼50여기, 중간 능선에 소형 돌덧널[石槨]과 돌방무덤[石室墓] 다수가 조영되어 대략 300여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발굴조사된 약목고분은 동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하단부의 함방뫼 마을에 위치하며, 1960년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내용

고분의 구조는 원형 봉토분으로 직경 21m, 높이 북 1m, 동서 3m, 남 5m로 남고북저의 구릉에 축조하였다. 중앙부에 주곽인 1호 돌방을 설치하고 개석을 덮은 후 그 위에 점토로 밀봉하고 다시 크기 20∼40㎝ 크기의 할석과 천석으로 50㎝ 정도 쌓았다. 봉토의 외곽은 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호석을 쌓아 돌렸고, 남쪽 호석에 연접하여 1호와 평행하게 2호 돌덧널을 축조하였다. 돌방의 구조는 장방형 판상식 석실로 길이 5.8m, 폭 1.3m, 높이 1.4m 로 석재는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으며, 개석은 길이 2m, 폭 1.5m, 두께 30㎝의 대판석 5매를 횡으로 덮고 개석사이의 틈은 할석으로 채웠다. 바닥은 점토로 다진 후 천석을 깔았다. 유물의 배치상태는 벽과 접한 석단 위에 단경호 1점, 파수부배 1점, 교구가 있었다. 그 다음 자갈이 깔린 곳에 마구류와 발형기대·통형기대·무개고배·적색연질옹·장경호 등이 놓여 있었으며, 중앙부에 피장자가 착장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도와 철촉군이 있었다. 그 아래 남벽에 고배 10점이 2열로 놓여 있었으며, 서벽에 접하여 대옹·고배·긴목항아리·적색연질토기가 배치되었다.

의의와 평가

돌방의 형태는 대구의 비산동 37호분과 내당동 55호분, 성주의 성산동 38호분과 58호분에서 확인되었다. 성산동 고분은 구덩식[竪穴式]으로 판명되었지만, 비산동과 약목고분은 앞트기식 돌방무덤[橫口式石室墓] 구조일 가능성이 크다. 출토된 유물 중 토기류는 전체적으로 5세기 중엽경의 신라토기 양식이지만 낙동강 동안의 대구지역과는 차별성이 있고 성주지역과 양식을 공유하는 특색이 있는 것으로 보아 낙동강 서안 문화권에 속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약목고분 발굴조사 보고서: 대옹총발굴』(경북대학교박물관, 1961)
「약목고분군」(『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약목고분 발굴조사 재보고」(『경부고속철도 대구·경북권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경북대학교박물관, 1997)
집필자
박광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