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설(國語學槪說)
그 밖에 세부의 하위분류, 그리고 조사·공대법·시제 등도 독특하며, 문 성분으로는 주어·서술어·수식어(관형어)·한정어(부사어)·독립어의 다섯가지를 설정하고 있다. 이 책은 국어계통론에 대한 분야와 국어전반에 걸쳐 문법적 기능에 따라서 나타나는 어형변화에 관한 연구, 즉 형태론이 빠져 있으며, 국어지리학(방언학)과 문자론 등 국어연구의 중요한 몇몇 분야들도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설서로서 미흡한 점이 있으나, 문법사 및 어휘론 연구에 있어서는 시사하고 있는 바가 많다. - 『조선어학논고』(이희승, 을유문화사, 1947) -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이희승, 동성사, 1947) - 「언어와 민족」(이희승, 『신천지』 1-1, 1946) - 「국어란 무엇인가」(이희승, 『신천지』 1-3, 1946) - 「문학사상에 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