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승은 족보의 한 형태로서, 가첩(家牒)·세계(世系)·가계(家系)·내외보(內外譜) 등의 명칭으로도 쓰였다.
일반적으로는 작성자 자신이 속하는 씨족의 시조 또는 중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그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의 일직선상에 나타나는 역대 조상을 세대순으로 기록하였다.
이와 동시에 각 조상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인적사항, 즉 자(字), 생년 및 졸년, 학행이나 과거 또는 관력의 영역에 업적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관한 중요사항, 자녀의 수, 묘의 소재지, 그리고 끝으로 배우자에 관한 사실 등을 밝히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 경우 배우자에 관하여는 무엇보다도 그가 어떤 가문의 출신인가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물론 그에 관하여도 그의 생몰년과 묘의 소재지 등은 반드시 포함되는 기록사항이다.
그렇지만 그보다 더 중요시되는 것은 그의 출신배경이고, 이 점에 있어서는 족보나 그 밖의 각종 가계기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나라에서 이와 같은 형태의 가승과 그에 유사한 각종 가계기록이 크게 발달한 것은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이다.
이것은 말할 것도 없이 이 시대에는 유교적인 효(孝)가 최고의 덕목으로 강조되고, 그 효의 실천의 한 과제로 ‘조상을 잘 알고 그 조상을 숭배하는 일’이 역시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혈통을 지극히 중요시하였던 당시의 사회사조 내지 사회관습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단순히 사람이라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는 떳떳한 한 인간으로 설 자리와 대우를 받기가 어려웠으며, 그러한 자리와 대우를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누구의 후손이라는 혈통적 연원(淵源:사물이 성립된 바탕)이 분명해야만 하였다.
그리고 그 혈통 중에는 언제나 반드시 외가와 역대 선외가(先外家)의 그것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던 것이다. 가승에서 배우자의 선계(先系)를 밝히는 데 특별히 신경을 쓰게 된 이유의 하나도 여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배우자가 어떤 씨족의 출신이고, 그의 선대는 어떠한 사람들인가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부(父)의 직위와 이름은 말할 것도 없다.
대개는 부를 포함한 4조(祖), 즉 부·조부·증조부 및 외조부의 직위와 이름(외조부의 경우는 물론 그의 소속 씨족이 포함)을 기록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왔다.
만일 그 배우자의 선대에 현조(顯祖), 즉 유명인물이 있을 경우에는 위의 4조 외에, 또는 4조 대신 그 현조를 내세우기도 하였다. 만일 그러한 현조가 없을 때에는 ‘경순왕의 후’니 ‘수로왕의 후’니 하여 아득한 윗대의 원조(遠祖)를 대는 예도 많다.
이상에서와 같이 가승은 그 작성자가 해당 족보에서 자기의 직계에 관한 부분을 옮긴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보면 가승은 족보보다 훨씬 앞서 출현하였고, 후에 그 가승이 바탕이 되어 족보가 발달하게 된다.
물론 가승이 우리 나라의 역사상 정확하게 언제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는가는 알 길이 없다. 그러나 적어도 고려 후기쯤 되면 일부 지식층 사이에서, 특히 중앙의 정계에서 활약하고 그것을 계기로 수도(首都)에서 한 귀족가문으로 기반을 다진 상류층에서는 선대의 내력을 가승의 형식으로 정리하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었다.
다만 가승은 그 성격이 족보와는 달라 인쇄될 기회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이 무렵에 작성된 것들은 물론 그 뒤의 것들도 거의가 중간에 소실되고 말았다.
족보란 말할 것도 없이 어느 한 씨족이 자기들이 내세우는 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그 시조의 모든 후손들을 족보편찬 당시의 생존자까지 포함하여 다 수록한 기록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것은 그 자손들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작성하는 가승을 하나로 합쳐서 엮은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은 초기의 족보는 그러한 합동가승보로 경위를 거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족보가 출현한 것은 한두 건의 예외가 있기는 하나, 16세기이다. 특히 1565년(명종 20) 간행된 ≪문화유씨가정보 文化柳氏嘉靖譜≫ 10책의 출현이 그 발달의 큰 계기가 되었다.
17세기에 들어오면서 족보의 제작활동이 주요씨족들 사이에서 점차 활발하여졌는데, 이 단계에까지 이르는 과정에서 일찍이 가승을 작성한 사람이란 어느 씨족의 경우에 있어서나 결코 많지는 않았다.
또 그 원래 많지 않았던 가승 중에서 위 창시보(創始譜) 편찬의 시기에까지 무사히 보전되어온 것은 또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초기의 족보, 즉 1700년경 이전에 출현한 족보는 후세의 족보처럼 해당 씨족의 공동의 발의와 공동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가승의 작성과 보전에 특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온 어느 특지가(特志家)가 자신의 가승을 주축으로 하여 족보의 형태로까지 확대시킨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 특지가는 종전에 자기의 직계조상을 위주로 정리했던 가계기록을 이번에는 각 조상의 모든 형제자매와 그 형제자매의 모든 후손들까지도 추적, 수록하는 방식으로 족보를 만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의 족보에서는 편찬자의 직계조상에 관해서는 일반 가승에서와 같이 자세히 기록되었다. 그렇지만 여타의 인원에 관해서는 거의 이름만 밝히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것은 편찬자가 남달리 유교적인 씨족의식, 즉 한 조상에서 갈라진 사람들은 언제나 그 사실을 명심하고 서로 특별한 유대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했다.
또 그러한 사명감에 철저했기 때문이다. 이는 곧 당시 한국사회를 거의 전면적으로 지배하였던 유교적인 가치관의 한 산물이었다.
한국 가계기록의 역사에서는 가승이 가장 먼저 출발하였고, 그 뒤에 족보발달의 기반을 이루었다. 족보의 발달은 유교적인 씨족관념 내지 씨족의식의 보급 내지 고양에 크게 기여하여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가승을 만들게 하였다.
나아가 합동가승보로서의 족보와 그 밖의 각양각색의 계보류(系譜類)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보학(譜學)이 발달하게 된 것도 이러한 배경 하에서였다. 사대부가에서는 부녀자들도 한글로 가승을 작성하여 선대에 관한 지식을 하나의 교양으로 갖추려고 노력하였다.
가승을 비롯한 각종 계보류는 조선 후기로 올수록 더욱 발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발달은 대체로 사람들의 혈통적 연원을 보다 넓고 보다 깊게 추적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작성된 내외보니 팔고조도(八高祖圖)니 하는 것은 가승의 체재와 내용을 보다 확대시킨 것이며, ≪백씨통보 百氏通譜≫·≪만성보 萬姓譜≫·≪잠영보 簪纓譜≫니 팔세보(八世譜)니 하는 것은 종합보의 성격을 띤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