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야박도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작품
심사정(沈師正)이 1747년(영조 23)에 그린 산수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심사정(沈師正)이 1747년(영조 23)에 그린 산수화.
개설

비단 바탕에 수묵으로 그렸고 족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153㎝, 가로 60㎝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일제 강점기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1916년에 기증한 것이다.

내용

상하로 긴 화면에 나무, 언덕, 강물, 산, 구름으로 가득 채워지고, 오른쪽 공간 하늘 부분에 5언시와 심사정의 낙관이 있다. 그림의 구도는 상하로 지그재그로 구비치는 강의 흐름에 따라 3원법의 근경 · 중경 · 원경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의 아래쪽 근경에는 왼쪽에서 솟은 언덕에 여섯 그루의 나무가 배치되고, 그림의 중심인 중경에는 반대로 오른쪽에서 솟은 언덕 위에 두 그루의 나무가 서있다. 그 아래 강가에 나룻배 한 척이 정박하고 있다. 배 위에 등 하나가 불을 밝히고 있고, 뱃머리에는 졸고 있는 듯한 인물이 있다.

이 강을 따라 올라가면 무성한 나무숲이 구름에 가려 아련히 멀어지면서 원경에 미법(米法 : 횡점으로 산이나 언덕을 표현하는 화법)으로 그린 산이 등장한다. 그 뒤편에는 먼 산이 아스라이 보이도록 묘사하였다. 하늘 부분 공간에 행서로 쓴 5언시가 남종 산수화의 분위기를 한껏 돋우고 있다.

들녘 길은 구름과 함께 캄캄한데, 강 위에 뜬 배는 불만 홀로 밝구나(野逕雲俱黑 江船火獨明)”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 춘야희우' 중의 구절로, 단비 내리는 봄밤의 풍경임을 알려준다. 화면 전체의 짙고 옅은 먹의 적절한 조화와 번짐 효과, 그리고 거기에 낮게 드리운 구름이 외로운 나룻배에 홀로 불 밝히고 있는 고요한 밤의 정취와 잘 어울린다.

의의와 평가

심사정은 산수 · 인물 · 화조 등 여러 가지 화제에 두루 뛰어났던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로 특히 화조 그림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산수화는 당시에 유행하던 진경산수화를 그리기도 하였지만 남종화법을 적용한 정형산수화에 더 많은 관심과 실력을 드러냈다.

심사정은 18세기 조선 화단에 남종화가 뿌리내리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완성도 높은 작품들을 남겨 그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꼽힌다. 「강상야박도」는 남종화풍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현재 심사정 연구』(이예성, 일지사, 2000)
「沈師正(1707-1769) 繪畵 硏究」(전인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