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 바탕에 수묵으로 그렸고 족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153㎝, 가로 60㎝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일제 강점기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1916년에 기증한 것이다.
상하로 긴 화면에 나무, 언덕, 강물, 산, 구름으로 가득 채워지고, 오른쪽 공간 하늘 부분에 5언시와 심사정의 낙관이 있다. 그림의 구도는 상하로 지그재그로 구비치는 강의 흐름에 따라 3원법의 근경 · 중경 · 원경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의 아래쪽 근경에는 왼쪽에서 솟은 언덕에 여섯 그루의 나무가 배치되고, 그림의 중심인 중경에는 반대로 오른쪽에서 솟은 언덕 위에 두 그루의 나무가 서있다. 그 아래 강가에 나룻배 한 척이 정박하고 있다. 배 위에 등 하나가 불을 밝히고 있고, 뱃머리에는 졸고 있는 듯한 인물이 있다.
이 강을 따라 올라가면 무성한 나무숲이 구름에 가려 아련히 멀어지면서 원경에 미법(米法 : 횡점으로 산이나 언덕을 표현하는 화법)으로 그린 산이 등장한다. 그 뒤편에는 먼 산이 아스라이 보이도록 묘사하였다. 하늘 부분 공간에 행서로 쓴 5언시가 남종 산수화의 분위기를 한껏 돋우고 있다.
들녘 길은 구름과 함께 캄캄한데, 강 위에 뜬 배는 불만 홀로 밝구나(野逕雲俱黑 江船火獨明)”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 춘야희우' 중의 구절로, 단비 내리는 봄밤의 풍경임을 알려준다. 화면 전체의 짙고 옅은 먹의 적절한 조화와 번짐 효과, 그리고 거기에 낮게 드리운 구름이 외로운 나룻배에 홀로 불 밝히고 있는 고요한 밤의 정취와 잘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