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유전 묘 (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허유전(許有全)의 무덤.
이칭
이칭
강화두운리고려묘(江華斗雲里高麗墓)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있는 고려후기 문신 허유전(許有全)의 무덤.
내용

1995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미 오래 전에 도굴되어 무덤의 제모습은 찾기 어려웠으나, 문중 사람들이 힘써 묘표석(墓標石)을 찾아 무덤주인공을 확인하였고, 1988년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 의해 발굴되었다.

무덤은 동쪽을 바라보고 남·서·북 3면에 90㎝ 높이로 돌담을 쌓고 그 위에 흙을 쌓아 덮은 구조이다. 무덤칸은 바닥에 움을 파고 나무널을 넣은 뒤 움과 나무널 사이에 판자돌을 세워 덧널을 만들었다.

돌담은 남북과 동서 너비가 490㎝ 안팎으로서 고려 영조척(營造尺)에 따르면 16자 크기이다. 무덤 정면의 돌담 좌우로 집모양을 새긴 문돌[門扉石]을 세우고 무덤 바로 앞에 약간 남쪽으로 치우쳐 묘표석을 세웠다. 묘표석에는 ‘駕洛許侍中公(가락허시중공)’ 여섯 글자를 쪼아 새겼는데 돌 겉면이 닳아 눈으로는 확인하기 어렵다.

묘표석 앞에는 장대석으로 두 단을 지어 놓았고 첫단에 혼유석(魂遊石)과 그 양쪽에 문인석을 마주보게 세워놓았다. 문인석은 얼굴만을 간단히 새 긴 모습으로 동자상을 닮은 고려시대 문인석의 특징을 잘 나타냈다.

껴묻거리[副葬品]는 도굴되어 거의 다 없어졌다. 발굴결과 중국동전, 청자잔, 고려시대 질그릇조각, 무덤의 주인공 것으로 보이는 사람뼈 1점 등이 나왔다. 뼈의 특징으로 보아 어른남자의 엉치뼈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무덤 주인공 허유전은 1243년(고종 30)에 태어나 충렬왕 때 감찰시사, 감찰대부를 거쳐 1321년 정승에까지 오르고 1323년(충숙왕 11)에 죽었다. 따라서 무덤의 연대는 14세기 전반이며 껴묻거리들의 연대와도 잘 맞는다. 발굴을 마치고 무덤은 원래 모습대로 복원되어 김해허씨 시중공파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가락허시중공무덤발굴조사보고』(손보기·장호수, 한국선사문화연구소, 1988)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