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지석기 (격지)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물품
격지를 잔손질해서 만든 도구.
이칭
이칭
박편석기(剝片石器), 석편석기(石片石器)
물품
재질
석재
용도
사냥|채집|채굴
제작 시기
구석기시대
내용 요약

격지석기는 격지를 잔손질해서 만든 도구이다. 돌덩어리를 의도적으로 타격하거나 눌러서 떼어 낸 돌조각을 격지라고 한다. 이렇게 떼어 낸 돌조각을 다시 잔손질해서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드는데, 이를 모두 아울러 격지석기라고 한다. 격지석기는 잔손질된 날의 형태와 각도에 따라 긁개, 찌르개, 홈날, 톱니날, 밀개, 뚜르개, 새기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석기로 더 자세히 나눌 수 있다.

목차
정의
격지를 잔손질해서 만든 도구.
종류

격지석기는 잔손질된 날의 형태와 각도에 따라 긁개, 찌르개, 홈날, 톱니날, 밀개, 뚜르개, 새기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석기로 더 자세히 나눌 수 있다.

격지 가장자리를 잔손질하여 가지런한 날을 만든 석기를 긁개라고 한다. 잔손질된 날이 둘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 긁개는 날이 하나다. 석기를 위에서 봤을 때 잔손질된 날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직선에 가까우면 곧은날 긁개, 날이 둥글게 볼록하면 볼록날 긁개라고 부른다. 오목날 긁개는 볼록날 긁개와 정반대로 날이 둥글게 움푹 들어가 있다.

한편 두 개의 잔손질된 날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져 끝에서 만나 뾰족한 석기를 찌르개라고 한다. 찌르개 중에는 잔손질된 두 날이 모두 날카로운 찌르개도 있고, 한쪽은 날카롭지만 반대쪽은 날로 쓸 수 없을 정도로 가팔라 등을 이룬 찌르개도 있다. 또한 찌르개 중에는 뾰쪽한 끝부분과 반대되는 밑부분에 주3가 있는 석기를 따로 주4라고 부른다.

홈날은 대개 격지의 가장자리를 한 차례 깊숙하게 때려 날카로운 오목날을 만든 석기이다. 드물게 격지 가장자리를 여러 차례 정교하게 떼어 홈날을 제작하는 때도 있다. 격지 가장자리에 두 개 이상의 홈날이 연달아 있을 때, 마치 톱의 날과 같다고 하여 톱니날이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정작 정교하게 잔손질해서 진짜 톱처럼 가지런한 톱니날을 갖춘 석기는 드물다.

밀개는 격지 또는 돌날의 끝부분을 잔손질하여 둥글게 볼록날을 만든 석기를 말한다. 밀개와 볼록날 긁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날의 각도다. 석기 단면을 보면 밀개 날은 언제나 긁개 날보다 가파르지만, 그렇다고 날로 쓰일 수 없을 정도로, 즉 직각에 가까울 정도로 가파른 것은 아니다. 밀개는 다시 형태에 따라 부채꼴밀개, 둥근밀개, 손톱모양밀개, 배모양밀개, 콧등날밀개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뚜르개는 격지나 돌날의 한 곳 또는 여러 곳을 뾰족하게 잔손질한 석기이다. 찌르개와 달리, 뚜르개는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위가 작고 짧다. 뚜르개 중에 뾰족한 부분이 두툼할 때 부리날이라고 따로 떼어 이름을 주기도 한다.

격지나 돌날의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아주 작고 긴 격지, 즉 새기개격지(burin spall)를 한 번 또는 그 이상 떼어 낸 흔적이 보이는 석기를 새기개라고 부른다. 새기개는 새기개격지를 떼어 낸 면의 개수와 방향 그리고 새기개석기를 떼어 낼 때 때림면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세분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유적에서 출토된 전체 격지석기 중에서 각각의 석기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유적의 연대를 보다 세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대개 전기 · 중기 구석기시대 유적에서는 긁개, 홈날, 톱니날이 비중이 큰 반면에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에서는 밀개와 새기개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참고문헌

단행본

앙드레 데베나스, 해롤드 L. 디블, 『구석기 형식분류』(이선복 옮김, 사회평론, 2012)
M.-L. Inizan et al, 『Technology and Terminology of Knapped Stone』(Antibes: CREP, 1999)
주석
주1

자갈돌의 한쪽 면을 떼어 날을 만들어서 물건을 찍는 데에 쓴 인류 최초의 돌연장.    우리말샘

주2

한쪽은 손으로 잡아 쥘 수 있고, 다른 쪽은 날카로워서 물건을 자르거나 땅을 팔 수 있는 작은 도끼. 때로는 가죽을 벗기는 데 쓰기도 하는데, 유럽ㆍ아프리카ㆍ인도 및 한국의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출토되었다.    우리말샘

주3

칼, 괭이, 호미 따위의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우리말샘

주4

슴베를 만들어서 창이나 화살 따위에 꽂아서 쓰는 찌르개.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